국내 ESS시장 2020년까지 6천억대 성장 전망
공공기관 설치 의무화… 道 "대상 기관 파악중"

[충청일보 송근섭기자] 정부가 미래에너지 시장 육성과 합리적인 에너지 이용 확산을 위해 올해부터 '공공기관 ESS(에너지저장장치) 도입'을 의무화한다.

'생명과 태양의 땅'을 기치로 에너지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해 온 충북도 시장 선점과 관련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미래 먹거리" ESS 주목하는 정부·업계

'ESS'는 Energy Storage System의 약자로 생산된 전기를 저장장치(배터리 등)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해 전력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다. 리튬이온전지(LiB), 나트륨황전지(NaS), 레독스흐름전지(RFB), 압축공기저장(CAES) 등의 전력저장원과 전력변환장치, 전력관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실시간으로 변하는 주파수에 즉각적인 충·방전으로 전력균형을 유지하는 '주파수 조정', 풍력·태양광 발전원의 출력보정 및 급전지시 응동이 가능한 '신재생 연계' 등 활용방안도 다양하다.

또 저렴할 때 충전하고 비쌀 때 방전해 전기요금을 절감하거나, 비상발전 대체에도 활용할 수 있다.

신규 비상발전 시장의 약 10%만 ESS로 대체해도 연간 1057억원의 시장 창출이 기대된다는 정부 분석도 있었다.

이처럼 ESS는 전력피크 억제와 품질 향상, 요금 절감 등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해 이미 몇 년 전부터 관련 산업계에서 ESS를 주목해 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ESS 시장이 2020년까지 6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공공기관부터 ESS 도입… 충북은 '느긋'

정부도 ESS를 활용한 미래에너지 시장 육성 등을 위해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개정했다.

이에 따라 일정 용량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공공기관의 ESS 설치와 일정규모 이상 건축물의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설치를 의무화했다. 올해부터 신축되는 건축물은 계약전력 5% 이상의 ESS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기존 건축물의 경우는 계약전력 용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치를 늘려나갈 방침이다.

1만㎾ 초과 건축물은 올해 말까지 ESS를 설치해야 하고, 5000~1만㎾는 2018년, 2000~5000㎾는 2019년, 1000~2000㎾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공공기관 건축물에 ESS가 설치될 경우 충전요금 50% 할인, 피크감축량의 3배에 해당하는 기본요금 할인, 사용량요금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기존 공공기관 건축물에 ESS를 설치할 경우 2020년까지 2000억원 규모의 새로운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때문에 많은 지방자치단체·관련 업계에서 '공공기관 ESS 의무 설치'를 신(新) 에너지시장 선점의 기회로 주목하는 분위기다.

몇 년 전부터 민간업계를 중심으로 ESS를 비롯한 태양광·신에너지산업을 집중 육성해 온 충북도로서는 후발 주자보다 유리한 위치에 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충북혁신도시에 중대형 ESS 시험인증평가센터가 들어서는 등 우수한 인프라도 갖췄다.

이 같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경우 충북도가 정부 차원에서 육성하는 수천억원대에 달하는 에너지시장 선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는데도 충북도는 느긋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직 의무설치 대상에 포함되는 건축물이 없다는 게 이유다.

하지만 관련 산업 육성과 에너지 절감 확산, '생명과 태양의 땅' 슬로건에 맞는 위상 제고 등을 뒤로 하고 정부의 원칙적인 '규정'에만 묶여 시장 선점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지역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ESS 의무설치 기한이 정해져 있더라도 선제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충북도에서 관련 산업 활성화와 전기세  선도적으로 ESS를 도입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현재 의무설치 대상 공공기관 건축물 현황을 파악 중"이라며 "1만㎾ 초과 건축물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 공공기관 ESS 설치는 내년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