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경수 청주대 국어교육학과 교수

 감자꽃/권태응
 
 자주 꽃 핀 건, 자주 감자,
 파 '보나 마나/보나마나' 자주 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
 파 보나 마나 하얀 감자.
 [출처: 《감자꽃》, 1948년 12월]
 
-시인소개

권태응(權泰應, 1918. 1. 30.~1951. 3. 28.)은 충청북도 충주 출생이다. 충주교현초등학교(1932년)와, 제일고보(1937년)를 졸업하고, 일본와세다[早稻田]대학 전문부 정경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재학 중 치안유지법 위반(독서회사건) 협의로 1년간(1939년) 수감되었다. 결혼(1944년)과 동시에 퇴원해 치료 계속했고 1951년 3월 28일에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고추잠자리', '고개 숙이고 오니까', '어린 고기들', '코록코록 밤새도록' 등이 있다.
 
-맞춤법 알기

한글 맞춤법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동사 '보-'+-어미 '-나마'+조사 '-나'로 분석된다. 그러므로 '보나마나'로 붙여 써야 한다. '-나마'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어떤 상황이 마음에는 차지 아니하나 아쉬운 대로 접어주는 조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다. 예를 들면, '변변치는 못하나마 많이 잡수십시오, 여자의 뺨에는 희미하나마 눈물이 흐른 자국까지 있었다, 도와주지는 못하나마 방해를 해서야 말이 되나' 등이 있다.
 '-나'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아, -게, -지, -고', 합성 동사의 선행 요소 따위의 뒤에 붙어, '마음에 차지 아니하는 선택, 또는 최소한 허용되어야 할 선택'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때로는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면서 마치 그것이 마음에 차지 않는 선택인 것처럼 표현하는 데 쓰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심심한데 영화나 보러 가자, 아이 이야기나 들어 보고 야단을 치든 말든 하세요, 나더러는 밥이나 짓고 청소나 하면서 살란 말이지?, 그건 애들 장난감으로나 쓸 수 있을까?' 등이 있다.
 또한, 동사 '보다'에서 '보-+나'의 형태로 분석할 수 있다. '-나'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아, -게, -지, -고', 합성 동사의 선행 요소 따위의 뒤에 붙어, '마음에 차지 아니하는 선택, 또는 최소한 허용되어야 할 선택'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때로는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면서 마치 그것이 마음에 차지 않는 선택인 것처럼 표현하는 데 쓰기도 한다. 동사 '말다'는 '-나 마나'로 활용이 되며, '-거나 말거나', '-거니 말거니', '-든지 말든지', '-ㄹ(을)까 말까' 따위와 같은 구성으로 쓰여, '아니 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보나∨마나'로 띄어 써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