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민병주 전 충북도도로관리사업소 총무팀장

▲ 민병주 전 충북도도로관리사업소 총무팀장.

[제공=민병주 전 충북도도로관리사업소 총무팀장] 손자는 "장수가 구변의 이로움을 꿰뚫고 있는 것은 군대 운용을 아는 것이고, 꿰뚫지 못하면 비록 지형을 안다 해도 지형의 이로움을 깨달을 수 없다.

군대를 다스릴 때 구변의 책략을 알지 못하면 비록 다섯 가지 이로움을 안다 해도 부하 다루는 것을 깨달을 수 없다.

지혜로운 장수의 생각은 반드시 이로움과 해로움을 섞는다 이로움을 섞으면 군무에 믿음을 주고, 해로움을 섞으면 걱정을 떼어낼 수 있다(將通於九變之利者 知用兵矣 將不通於九變之利 雖知地形 不能得地之利矣 治兵 不知九變之術 雖知五利 不能得人之用矣 智者之慮 必雜於利害 雜於利 而無可信也 雜於害 而患可解也)"라고 했다.
 
이 구절은 장수는 전장에서 수없이 변화하는 상황의 본질과 내용을 잘 알아야 하고, 용병에서는 유불리를 따지면서 판단하고 실행해야만 바라는 것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구변(九變)을 직역하면 아홉 번 변화·변고·변통한다는 뜻이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수도 없이 또한 끝없이 어그러지며 놀랄만한 사태로 바뀌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구(九)라는 숫자에는 '무한하다, 수의 끝'이라는 뜻이 있어서 그렇다.

이러기에 구변은 변화의 폭, 질과 양이 정신을 차릴 수 정도로 혼란스러운 것이다.

장수는 이런 구변의 본질을 깨닫고 있으면서 막힘없는 대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전쟁과 전장에서는 늘 구변이 있기 때문이다.

철학(Philosophy)은 Philos(지혜)와 Sophia(사랑)의 합성어로 '존재하는 모든 것에 관한 근본 인식과 태도'를 일컫기도 한다.

그래서 철학은 대상과 내용을 한정할 수 없다.

이런 조어(造語)의 법칙으로 전쟁철학(Warlosophy/War와Philosophy의 합성어)이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보았다.

이 전쟁철학의 뜻은 현실의 전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것에 관계된 인지, 감각, 접근이다.

그러기에 전쟁철학은 전쟁에 관한 현실적인 종합 사고와 사유, 의식과 체계, 행동과 행위의 실천이 어우러지는 매우 넓은 영역이다.

손자가 쓴 '구변'과 필자가 만든 '전쟁철학'은 그 뜻이 비슷하고 실행의 연관이 같은 테두리에 있다 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전쟁에 관한 포괄성, 심원성, 다양성이라는 공통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변과 전쟁철학의 이치를 아는 지휘관은 전쟁과 전장 상황에 알맞게 대응할 수 있다.

현실파악력 예측력, 실행력을 갖추고 있어서 그렇다.

또한 그는 자신의 군대를 움직이기 전에 장점과 단점, 유리함과 불리함이 무엇인지를 판단해보고 실천한다. 전장과 전장의 생태에 관해 너무 잘 알고 있어서 그렇다.

따라서 지휘관이 구변과 전쟁철학을 깨닫고 가다듬는 것은 필수고 당위인 것이다.

자신의 군대를 유지하고 승리를 거두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우리들 삶은 그 어느 분야에서 영위하더라도 목적과 목표가 있다.

그래서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지휘해야만 한다.

이렇게 하려면 그 삶의 근원과 내용과 원인들을 잘 알아야 하고, 주변 여건과 환경의 변화는 잠재와 현실 속에 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는 것을 간파하고 있어야 한다.

올곧은 대비와 대처를 할 수 있어서 그렇다.

삶은 이것을 요구하고 있다.

손자의 가르침을 잘 헤아려보라.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