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가 지난 7일 '2030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충청권 시ㆍ도지사들은 아시안게임 유치가 충청권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중심으로 도약할 기회로 보고 560만 충청인의 역량과 염원을 하나로 모아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2030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면 남북 공동 입장, 남북 단일팀 구성 등 남북한 스포츠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구상도 나왔다.

아울러 정부가 추진하는 '2032 서울·평양 올림픽'의 프리(pre)대회 성격을 띠어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홍보의 장도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서울·강원은 하계·동계 올림픽을, 인천·부산은 아시안게임을, 대구(2003)·광주(2015)는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각각 개최한 반면 충청권만 세계 종합스포츠 대회를 유치하지 못했다.

2014 인천아시안게임의 경제적 유발효과가 18조4903억원에 달한다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분석도 있다.

이번에 충청권이 단합해 아시안게임을 유치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충청인의 자긍심을 높이는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하지만 우려되는 점도 있다.

앞서 지난해 11월 충청권 4개 시도는 '2025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공동 유치하자고 합의한 후 한 달도 안 돼 사실상 공조가 깨졌기 때문이다.

충남도는 지난해 12월쯤 공동 유치에 나서기 어렵다는 뜻을 피력했다.

대회 유치에 성공한다 해도 정부가 체육 인프라 투자에 필요한 국비를 대거 지원할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에서 재정 부담이 크다는 이유였다.

그러자 대전시마저 4개 시도가 함께 하는 것이 아니라면 공동 유치에 의미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결국 유니버시아드 대회 유치 시도는 불발됐다.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는 정식종목 13개와 개최도시가 선정하는 선택종목으로 치러지는데 최소 7000억원에 육박하는 대회 비용 조달이 충청권 공동유치 불발의 최대 원인이었다.

2015년 광주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경우 전체 소요 예산 6000여억원 가운데 정부 지원은 32.8%에 불과했다.

반면 아시아 45개국 1만여명이 참가해 40개 종목, 465개 세부경기를 치르는 '아시안게임'은 규모면에서 유니버시아드 대회와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아시안게임 공동 개최 시 기존 스포츠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저비용 고효율' 대회를 치르겠다는 계획이다.

전체 종목 중 17개 종목 경기장만 국제 규격에 맞게 신축하면 되고 그에 필요한 1조2500억원을 4개 시·도가 분담하면 된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필요 경비를 최대한 아끼려 했던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도 총예산이 32억 달러(3조5968억원)가 들어갔다.

아시안 게임 유치가 지역에 '골칫거리'가 되지 않도록 충청권 4개 시도는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특히 대회가 끝난 후 신축한 경기시설의 활용방안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

'2030 하계 아시안게임' 개최지는 2022년 상반기 결정될 예정이다.

국내 후보도시는 올해 말 확정된다.
 

충청권 4개 시도의 단합으로 충청인들이 하나가 돼 '2030 하계 아시안게임'을 유치하고 성공적인 대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