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16%
경제 전반 수요 부진 글로벌 교역 둔화 영향

[충청일보 배명식기자] 제조업체의 출하 대비 재고 비율(재고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다.

재고 부담 때문에 제조업 생산이 둔화해 경기가 더 깊은 부진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국제금융센터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제조업 재고율은 116.0%였다.

이는 122.9%를 기록한 1998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제조업 재고율은 월말 재고(생산분 중 팔리지 않고 남은 것)를 월중 출하(생산분 중 시장에 내다 판 것)로 나눈 값이다.

제조업 재고율은 지난해 말부터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작년 10월 106.9%에서 11월 111.7%로 뛰더니 12월에는 4.3%p 더 올랐다.

재고율 상승은 경기가 좋을 때 오르기도 한다. 반도체와 같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제품을 생산해 대량 출하 시기에 대비해야 하는 업종도 있어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재고율 상승은 경기가 꺾일 때 빚어지는 현상이다.

제품을 생산했지만 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해 팔리지 않은 물건이 쌓인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재고율이 지속해서 상승하면 제조업체는 공장 가동을 줄인다. 결국 생산이 둔화해 경기는 더 위축된다.

실제로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서서히 하락세다. 지난해 12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7%로 2개월 연속 떨어지며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세부업종별로는 지난해 12월 자동차 제조업 출하가 한 달 전보다 7.1% 감소하고 재고가 6.5% 늘었다.

반도체 제조업 출하도 5.1% 줄고 재고는 3.8% 늘었다. 철강과 같은 1차 금속의 출하는 2.5% 감소, 재고는 3.2% 증가했다.

출하 감소, 재고 증가는 모두 재고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요인이다.

지속적 재고율 상승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최근 재고율 상승은 수요가 부진한 경제 상황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중 무역분쟁으로 글로벌 교역이 주춤해 재고가 쌓이는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