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균 제천·단양주재 국장

 

[목성균 제천·단양주재 국장]  우리는 찬란한 역사든 불행한 역사든 모두를 안고 가야할 책임과 소명을 가진다. 과거는 오늘을 결정하고 오늘은 미래를 조망한다. 

그런 이유로 작은 것 하나라도 왜곡되거나 간과돼서는 안된다.

아픈 역사라도 진실규명을 통해 반드시 밝혀야 하는 것도 역사에 한 부분이다.

올해로 한국 전쟁이 발발한지 70년을 맞는다.

한국전쟁은 소수 전공자의 전유물일 뿐 민족 모두의 아픔으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되고 있지 않은 듯하다.

전쟁 당시 민간인 집단 희생문제는 민족의 최대 비극이다.

충북 단양군 영춘면 상리 일원 주민들은 한국전쟁 당시 동네 가까운 굴에 몸을 숨기고 있다 미군의 폭격으로 300여명이 숨졌다. 

유족들은 반공이 국시가 되는 이데올로기 속에서 70년이 넘도록 눈물을 삼키며 그날의 아픔에 대해 숨죽이도록 강요받았다.

이들은 억울함을 호소하며 진실규명을 외쳐 왔다.

하지만 사회적 냉대와 연좌제의 차별 속에서 숨죽이면서 살아 왔다.

지난 참여정부시절 과거사 진실 규명기구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활동을 시작하면서 밝혀진 것은 고작 진실규명 뿐이다.

유족들은 진실위가 활동에 들어가자 명예회복과 진실규명, 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유가족들의 아픔만 깊게 했을 뿐 전과 달라진 것은 없다.

유족들은 "70여 년간 한 맺힌 억울함을 꺼내지 못하고 행여나 빨갱이로 몰릴까봐 숨죽여 살아 왔다"고 그간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단양 곡계굴 사건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자행된 민간인 학살사건 중 하나다. 

당시 피난을 가지 못한 단양군 영춘면과 강원도 영월군 주민 400여명은 곡계굴에 몸을 숨기고 있다 16시간동안 계속된 미군의 무차별 폭격으로 360여명이 숨졌다. 

곡계굴 사건은 영동 노근리 사건에 비해 뒤늦게 알려졌지만 희생자 규모는 이를 능가한다. 

생존한 유족들은 이제 80세를 훌쩍 넘어 당시 후유증 등으로 힘든 삶을 살고 있다.

늦었지만 최근 충북 단양군이 '통한의 곡계굴 양민학살' 사건을 다른 다큐멘터리를 추진 중이다.

단양군은 한국전쟁 반발 70주년을 맞아 KBS청주방송총국을 통해 곡계굴 참사를 재조명한다.

유족들의 한 맺힌 삶, 진실규명과 국가의 책임 등을 다룬 다큐멘터리는 오는 6월 방영될 예정이다.

정부는 곡계굴 사건을 한미 양국의 우호적 관계 훼손 운운하며 마냥 덮어두거나 시간을 끌어서는 안된다.

이제라도 억울하게 죽어간 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유족들에게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