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3건→ 2019년 219건

전통적인 도로에도 디지털 전환 물결이 거세지고 있다.

단순한 이동공간에서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도로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서비스 공간으로 바뀌면서 디지털 도로 구현을 위한 특허출원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디지털 도로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2010년 53건에서 2019년 219건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10년(2010~2019) 연평균 17%씩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율주행 상용화 추세, 소비자 편의, 도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이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출원인 유형별로는 개인·중소기업 76.5%(904건), 대학 10.5%(128건), 연구소 8.2%(97건), 대기업 4.4%(52건) 순으로, 중소기업과 개인의 출원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 자본의 기업이나 개인이 디지털 기술개발에 기술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주요 기술별로는 도로 기반시설과 교통 관리 체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로 기반시설(SOC) 관련 기술이 665건, 도로의 기획부터 설계, 시공과 유지관리에 첨단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도로 시공 관련 기술이 369건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도로 기반시설(SOC) 관련 기술은 감지기와 정밀지도 등을 통해 디지털 정보가 수집되고, 데이터가 분석, 모니터링되면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위험 상황을 예측·경보하는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디지털 도로의 시공 관련 기술은 빌딩정보모델링(BIM),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모듈러(Modular) 공법 등 건설시공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 10년간 주요 국가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이 정부 주도로 디지털 도로건설을 적극 추진하면서 특허 출원량에 있어서는 가장 많지만, 국가 간 출원은 유럽과 일본에서 미국으로의 이동이 많아 미국이 세계 시장의 중심에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은 디지털 도로 사업을 필두로 지능형 교통체계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기반시설을 자랑하고 있으며, 구글, MS, 아마존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과 투자‧합병을 지속하며 시장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허청 박미정 심사관은 “도로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국내 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디지털 기반 기술을 잘 활용하고,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해 우수한 지식재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능희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