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잇따라 물의를 빚고 있는 것과 관련해 충북도 정무라인이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불거졌던 김 지사의 구설은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정책 추진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일각에서 지적하고 있는 바는, 민심을 읽고 도지사에게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정무라인인데, 그들이 도지사와 민심을 연결하는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취임 후 현재까지 9개월여 사이 스스로 만든 문제들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차 없는 도청은 도청 공무원들의 여론도 제대로 파악하기 못한 채 성급하게 추진하려다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 정무라인이 제대로 가동됐다면 노조와 사전 의견 조율이 가능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현금성 복지공약 후퇴역시 도민들의 마음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일어난 결과다.

출산·육아수당, 효도수당 등 현금성 복지 공약을 충분한 여론수렴도 없이 일방적으로 축소했다가 도민들로부터 큰 비판을 받았던 것이다. 정무라인이 민심의 반향을 제대로 챙겼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친일파가 되련다는 망언도 곧바로 잘못을 인정하고 진정어린 사과를 했다면 이처럼 파문이 확산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국민들의 여론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어설픈 사과에 그치면서 논란만 더욱 키운 꼴이 됐다.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후보자 임명과 관련한 도의회 패싱논란도 정무라인의 무능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도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승인까지 걸리는 시간을 염두에 두고 관례적으로 사전에 승인 요청을 했지만 도의회로부터 패싱 논란에 시달려야 했다.

정무라인이 일련의 내용들을 도의회에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이해시켰다면 인사청문회 취소라는 초유의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었다.

물론 이 같은 문제들이 잇따라 불거지고 있는 것은 김 지사 본인의 잘못에서 비롯된 일이고 자신의 책임이 크다.

그럼에도 도지사의 정무적 감각에 균형감 있는 촉으로 역할을 다해야 할 정무 라인이 그동안 무엇을 했느냐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정무라인의 무능론까지 제기한다. 보좌진의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지 살펴봐야 하는 대목이다.

예스만을 외치는 건 정무라인이 아니다. 수장의 심기를 살피기에 앞서 잘못된 것은 단호하게 라고 고언해야 하는 것이 정무라인의 역할이다.

김 지사는 취임 후 별정 2급인 정무특별보좌관, 정책특별보좌관과 별정 4급 정무보좌관, 정책보좌관을 비롯해 대외협력관, 비서 등 도지사가 직접 임용할 수 있는 별정직 최대 정원인 8명을 모두 임명했다.

도지사에게 그런 권한이 부여된 건 자신만의 정무라인을 구축해 도정을 잘 이끌라는 뜻이다.

이는 민심을 수렴해 도지사에게 전달하고, 도지사의 뜻을 여론에 잘 설득하는 것이 정무라인의 주 업무이고 책임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자신들의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것은 둘째 치고, 권위만 내세워 직원들과 도의원들로부터 눈총을 받고 있다면 이는 분명 잘못된 것이다.

그래서 대대적인 쇄신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는 지역 정가의 이야기는 설득력을 갖는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