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년의 지역NGO에 거는 기대
![]() |
| ▲ 유재풍 청주로 대표변호사 |
그간의 활동 중 용화온천저지운동, 2000년 총선 낙천낙선운동, 오송고속철유치운동, 용두사지철당간 보전운동, 지방자치단체장 판공비지출사본공개소송 등은 충북참여연대를 비롯한 충북지역 ngo 활동의 주요성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한 지역 ngo 활발한 활동은 지방자치단체장들이 늘 지역 ngo의 반응을 염두에 두고 정책결정과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시민단체로서의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은 자타가 공인하는 것이다.
이제는 그만큼 높아진 위상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인식하고 새로운 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인바, 그간 직간접적으로 활동에 참여해 오면서 향후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해 온 것 몇 가지를 짚어본다.
우선 시민운동의 시민참여부족 문제다. 그간 지역 ngo 활동이 몇몇 활동가 중심으로 진행되다 보니 '그 얼굴이 그 얼굴' '시민없는 시민단체'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그렇다. ngo 활동은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활동이 되어야 할 것임에도, 시민이 중심이 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회원 1000명 이상인 단체도 있기는 하나, 사실 대부분의 ngo는 회원모집에 있어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그러다 보니 활동의 내용이나 재정면에서 취약할 수 밖에 없다. 그것은 시민들의 무관심이 빚어낸 것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없기 때문이다.
풀뿌리시민운동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의제와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시급하다. 지금까지는 몇몇 중요사안에 대한 대증적(對症的) 대응운동이 주를 이루었던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제는 지속적으로 지역시민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의제를 발굴해 나가야 한다. 예컨대 노인·과청소년·다문화가정 등 사회적 약자의 삶을 개선하는 운동, 도덕성함양이나 준법의식 함양 등 일상적 삶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지난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제기된 매니페스토운동 등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하기 곤란한 것으로서 ngo가 나서야 할 일들이다.
다음은 전문성 제고의 문제다. 지역의 중요사안에 대해 지역 ngo들이 연대해서 성명을 발표하고 시위를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여론을 환기시키고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러나 전혀 단체의 성격과 관계없고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만한 대안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비난일변도의 성명이나 성토 등으로만 진행되는 운동도 수다하다. 각 단체별로 지역의 전문가 풀을 동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그들과 연계해서 이슈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을 바탕으로 시민들이나 정책당국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아무 사안에나 나서서 펼치는 백화점식 시민운동에 시민들은 식상해 있다. 성년의 나이에 어울리는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ngo활동이 활발한 것은 사회가 그만큼 열려 있다는 증거다. 세계 12위의 경제규모를 자랑하며 oecd의 일원으로서 21세기 선진국을 향해 나아가는 우리나라에서 ngo활동은 더욱 두드러져야 한다. 그러나 그 활동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어떤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라는 끊임없는 성찰과 질문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실로 열악한 환경 가운데서도 잘 성장해서 이제 성년을 맞은 지역 ngo 활동을 이끌어온 이들에게 박수를 보내며, 아울러지역 ngo 활동에 대한 지역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