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침몰 … 지역현안 '발목'

대덕특구지연 … 아울렛매장 제자리

2010-04-29     장중식김재중

천안함 정국으로 사실상 논의 자체가 물 건너간 세종시 여파로 대전지역 주요 현안사업이 줄줄이 삐걱거리고 있다.

이는 원안과 수정안 택일 여부를 떠나 표류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세종시 문제로 인해 배후지역을 겨냥한 각종 현안사업이 제자리를 찾지 못한데 따른 것이다.

실제 대전시 유성구 일원에 조성될 예정이던 대덕연구개발특구 2단계 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 7월 유성구 신동둔곡ㆍ전민동 일원 대덕특구 2단계 418만㎡에 대한 개발사업계획을 고시했다. 신동지구(170만㎡)는 대전도시공사가, 둔곡지구(200만㎡)ㆍ전민지구(18만㎡)는 lh, 문지지구(30만㎡)는 문지지구개발사업조합이 사업시행을 맡고 있다.

하지만 주도적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해 9월 실시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했지만 지난해 말 용역을 중단한 상태다.

신동지구를 추진하는 대전도시공사 또한 당초 다음 달쯤 실시설계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었지만 시기를 연말로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더불어 지난 26일 발표한 중부권 최대 교외형 아울렛매장 건설을 위한 대전시와 신세계간 mou 체결 또한 구체적인 투자유치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채 원론 수준의 양해각서에 그치고 말았다.

특히 당초 유력한 후보지로 꼽혔던 유성 구암동 일원이 탈락하고 관저동 일원으로 지역이 바뀌는 결과를 빚었다. 이에 대해 부동산 업계에서는 "비싼 땅값도 문제지만 세종시 배후지역으로의 메리트가 반감한 것도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충남대 제2병원 부지로 거론됐던 월드컵경기장 일원도 무산된 것은 물론, 주변지역개발사업도 현재 그린벨트 해제 등 절차를 밟고는 있으나 세종시 수정안 논의 결과에 따라 성사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다.

이 같은 현상들은 세종시 논의자체가 장기화된 데 따른 것으로 어떤 모습으로든 세종시 해법이 제시되지 않는 한 대전지역 현안 사업의 차질은 불가피 할 전망이다.

/대전=장중식·김재중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