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은 가장 화려한 채소

2020-09-16     충청일보

[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ㆍ한국경비협회 부회장

예로부터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다른 집에 선물하거나 주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채취한 버섯 중에 독버섯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비와 폭염을 거쳐 일교차가 큰 지금은 버섯이 성장하기 아주 좋은 환경이다. 야생버섯은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대표적인 채소이다. 충분한 습도와 일교차는 야생버섯의 성장에 좋은 기후이다.

사람들은 각자 취향에 따라 자연산능이버섯이 가장 맛있다고도 한다. 다른 이는 싸리버섯이 가장 맛있다고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비싼 것은 송이버섯이다. 능이버섯이 최고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당신은 능이버섯이 최고라고 했으니 둘 중에 송이버섯이 아닌 능이버섯을 가져가라’고 하면 ‘아니라’며 송이로 가져가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송이버섯은 소중한 이들에게 선물로 많이 사용된다.

우리나라는 약 1600종의 버섯이 자란다. 다른 물체에 붙어 영향을 흡수하여 자란다. 그중 식용으로 가능한 버섯은 영지, 능이, 표고, 송이, 싸리, 석이, 느타리, 팽나무버섯 등이다. 70% 해당하는 는 식용할 수 없는 버섯이다. 버섯은 대부분 우산모양으로 생겼으며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없다. 버섯은 깊은 숲속 낙엽이 섞은 곳에서 많이 발견된다. 버섯은 입맛을 돋우는 좋은 식재료이다.

식용버섯은 대부분은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약재료도 많이 사용된다. 문제는 버섯을 잘못 섭취하여 목숨을 잃는 일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식용버섯과 독버섯은 특별한 전문가가 아니면 일반인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대개 독버섯은 통상 갓 주름 부분이 백색을 띄고 줄기부분은 표고버섯보다 가는 편이고 갓 부분이 잘 떨어진다.

그러나 독버섯이 다 그런 것이 아니다. 독버섯은 원색적으로 화려하고, 벌레나 곤충의 피해가 없고, 은의 성분을 가진 물질을 검게 변하게 하고, 버섯의 대공이 세로로 찢어지고, 찢으면 유액이 나오고, 버섯 대에 띠가 없다. 일반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버섯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 아예 먹을 생각을 말아야 한다. 소금물에 절이거나 끓이면 독이 없어진다는 것도 부분적으로는 잘못된 상식이다.

문제는 비슷한 모양의 버섯을 잘못 섭취하는 경우가 있다. 식용인 느타리버섯과 독버섯인 화경솔밭버섯, 식용인 큰 갓 버섯과 독버섯인 독흰갈대버섯, 식용인 개암버섯과 독버섯인 노란개암버섯, 식용인 싸리버섯과 독버섯인 불은싸리버섯은 그 형태나 모양이 비슷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구별하기 힘들다. 독버섯은 섭취하였을 때 거의 증상이 없는 버섯과 조금만 섭취하여도 생명을 잃을 수 있는 맹독성 버섯 등 독소의 함량도 다양하다.

독버섯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독버섯 섭취의 증상은 속이 불편하고, 구역질이 나고, 구토, 설사, 경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독버섯에 대한 응급처치의 방법은 먹은 버섯을 토하게 해 최소한으로 버섯의 독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다.

특히 버섯은 종류에 따라 다른 성분의 독소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먹다 남은 버섯을 수거해 가져가는 것도 의사의 처방에 가장 도움이 된다. 버섯은 채소 중에 많은 색깔을 가지고 있는 화려한 채소이기에 섭취 할 경우 조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