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피싱, 일단 전화 끊고 확인해야
[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 ·사단법인 경호원총재
명절 전이면 보이스피싱 사고가 증가한다. 어리숙한 사람들이 피해를 보았으나, 요즘은 대상이었으나 요즘은 교수, 법조인, 기업인 등 피해 대상도 똑똑하고 많이 배우고 경험이 풍부한 사회 저명인사도 많다. 정보를 알아야 사기행각에도 성공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스 피싱도 사생활 정보에 기반을 둔다.
스미싱은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 문자를 의미하는 문자메시지와 인터넷 이메일 등으로 알아낸 정보를 활용하여 사기를 벌이는 피싱의 합성어이다. 주로 스마트폰의 결제 방식을 악용한 사기수법에도 사용된다. 반면 보이스피싱은 스미싱을 통하여 알아낸 정보를 활용한다. 또는 해킹 등 집단정보를 넘겨받아 분석하여 피해자에게 전화를 하여 돈을 송금하게 하거나 직접 전달받아 챙기는 사기수법이다.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전화번호 주소 직업 자녀의 이동시간 부모의 일과 모든 일정을 상세히 파악한 후 전화를 한다. 대출금이 잘못 입금되었다면서 다시 입금한다고 하면서 반환요청을 한다. 긴급지원금 상품권이 도착했다는 스마트폰에 문자메시지가 온다. 군복무 하는 아들이나 손주가 사고를 내어 급히 돈이 필요하다고 전화를 한다. 잘 놀고 있는 자녀나 손주를 납치했다는 전화다.
부모가 사고를 당하여 긴급 수술이 필요하다는 전화가 온다. 불륜 사실을 공개한다고 한다. 성관계 영상을 유포한다고 한다. 신용등급을 높여 대출해준다고 한다. 카드 연체 대금을 송금하라고 한다. 검찰청인데 벌금을 납부하라고 한다.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으니 비밀번호를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한다. 국세청 세금 납부를 독촉한다. 보이스피싱 사기행각은 개인정보를 상세히 알아야 가능하다.
보이스피싱은 인터넷전화를 통해 해커가 사용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피해자들로부터 주민등록번호, 통장계좌번호, 비밀번호, 신용카드 번호 등 정보들을 받아서 정당하게 사용하는 것처럼 꾸민 범죄를 지칭했다. 요즘에 와서는 해커가 피해자들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빼내지 않고 발신번호를 조작하여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서 감언이설로 속여 계좌이체를 하게 하는 등 방법도 다양하고 세분화 되었다. 그러나 이것도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알고 있을 때 통하는 법이다.
피해자도 다양하다. 한 기업인은 부대 근무하는 행정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군 복무하는 손주가 사고를 쳤는데 없었던 것으로 급하게 처리하려면 합의할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영창을 간다. 그게 사실인줄 알고 송금하였다. 또 한 법조인은 자녀가 납치 되었다는 전화를 받았다. 바로 자녀의 핸드폰으로 전화를 하였지만 연결이 안 된다는 음성 멘트가 나왔다. 납치가 사실인줄알고 송금하였다. 그러나 자녀는 휴대폰이 방전된 사실을 모르고 친구 집에 있었다. 손주 자녀를 이용한 사기 수법이다.
여론조사기관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와 성실히 답했다. 성실히 답해 이벤트에 자동추첨으로 유명콘도회원권에 당첨되었다는 것이다. 관리비 등 제비용을 선납하면 회원권을 보내준다는 말에 관리비 등 50만원을 송금하였다. 이외에도 발신번호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상대방을 안심시키는 방법 등 다양하다. 예전에는 연로하신 어르신이나 세상물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 범행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사회의 지도층인사는 물론 평범한 중산층과 빈곤층 등 국민들 전체에 피해를 입힌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고도화된 보이스피싱은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보이스피싱은 전화 등 통신을 불신하게 만들어 신뢰를 무너뜨린다는 것이다. 보이스 피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유출을 차단해야 한다. 일단을 전화를 끊고 반드시 확인될 때까지 송금 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