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군, 저탄소에너지화 기술개발 ‘박차’
2025년까지 390억 투입, 성신양회와 공동개발 메탄올, 연간 1만t 생산 연구·실증단지 구축
충북 단양군이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메탄올을 생산, 고부가가치를 가진 수소로 탈바꿈하는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
군은 지난 23일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에서 바이오프랜즈, 단양군, 성신양회, 석회석신소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산화탄소(CO2) 포집과 메탄올 전환 설비 기초설계 인·허가 관련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메탄올 생산을 위한 1차 전체공정설계(안)에 대한 주관기관 바이오프랜즈의 총괄적인 설명이 진행됐다.
이어 설계에 대한 공정별 기관·기업의 의견조율 등을 공유하고 진행될 메탄올 생산 플랜트 건설의 기본·상세설계를 확정하는데 적용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신속한 사업진행을 위해 각종 인·허가 추진에 대한 대응 준비사항도 논의했다.
앞서 군은 작년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CCU분야 시멘트산업 배출 CO2 활용 저탄소 연료화 기술개발’ 국책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 선정으로 군은 오는 2025년까지 총 사업비 390억원을 투입한다.
같은 해 12월 충북도와 성신양회㈜ 등 10개 기관은 도청에서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
협약에서 성신양회는 공장 내 CCU 기술을 적용해 배출된 미세먼지와 CO2를 동시 포집해 정제한 후 합성가스로 전환해 메탄올로 만드는 연구를 진행한다.
성신양회는 확보한 이산화탄소(CO2) 포집 기술로 탄소 배출을 감축해 친환경 사업구조의 전환을 모색하고 환경과 사회를 중시하는 ESG 경영 체제 구축에 나선다.
군과 성신양회 등은 1차 년도 과제로 온실가스를 다시 흡수해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과 연간 1만t 이상의 메탄올을 생산하는 연구시설의 실증단지 구축을 1차 목표로 설정했다.
군이 계획한 메탄올 전환 설비 구축은 저탄소 연료화 기술 개발의 첫걸음이다.
향후 군은 수소로의 전환 생산을 통한 경제성을 높여 대한민국 수소 생산의 메카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박대희 군 기업유치지원팀장은 “오는 2030년 이후에는 하루 평균 8천t 규모에 연간 240만t 이상의 이산화탄소 포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기대했다.
국내 메탄올 사용 규모는 연간 180만t 수준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단양=목성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