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산불관리 시스템 필요

2022-03-16     충청일보

[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한국경비협회 중앙회장

얼마 전 동해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산불은 집을 잿더미로 만들고 소중한 산림자원을 초토화시켰다. 국가는 의용소방대는 물론 국가안보에 역점을 두어야 할 국군장병까지 동원하였다. 소방헬기 군작전용헬기 소방차 등 소방역사상 가장 많은 장비가 동원되었다. 그럼에도 이미 건조해진 환경과 강풍에는 속수무책이었다. 그나마 뒤늦게라도 비가 와서 발생 10일 만에 진화하였다.    

산불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길목에 발생하는 산불은 강한바람과 건조한 기후로 인하여 초기진화가 안되면 대형산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불관리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산불예방을 위해 그다지 많은 예산과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국립공원의 경우 국립공원공단으로 하여금 특별사법경찰관의 신분을 부여하고 산림 훼손 등 소속물에 대하여 보호하기 위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이렇기 때문에 사람이 많이 찾더라 하더라도 국립공원의 산불발생이 일반임야보다 낮은 편이다. 반면 일반임야의 경우 논과 밭과 같이 접하여 있다. 사유지 임야가 포함되어 있고 이에 대한 관리도 사적 영역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읍면동 행정조직에서 산불감시원을 운영하고 있다. 산불조심강조기간에 마을인력을 적당한 수당을 주고 산불감시원을 배치하는 것이 전부이다. 이들 산불감시원은 대부분 연로한 분들로 신속성과 전문성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모든 것은 관리가 부실할 경우에 발생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여야 한다. 산불발생시기에는 일반산림도 국립공원의 임야 수준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산불관리업무에 필요한 산불예방경비원, 산불감시카메라, 산불감시멀티콥터, 산불감시드론, 산불관리 관제센터를 갖추고 산불방지를 위해 신속대응이 가능한 산불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제는 과거의 방식에서 근심걱정으로 산불을 관리해서는 안 된다.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산은 광범위하게 구성되어 있고, 높낮이로 되어 있어 전체적인 시야확보가 불가능하다. 그렇게 때문에 산불은 대개 신고로 접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어안렌즈를 이용하여 광대역감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방위 감시카메라,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곳을 감시가 가능한 열 감지카메라, 기존의 무인카메라의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한곳을 집중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멀티콥터 등 감지장비가 관찰한 것을 수신하여 수시로 순찰을 돌면서 산불을 진화하는 역할을 하는 산불진화장치를 탑재한 산불관리전용드론으로 구성되어 이를 운용하고 산불관리 업무를 제대로 교육받은 경비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체적인 시야를 확보한 감시장비와 실시간 감시하는 기능과 신속대응이 가능한 산불관리드론 으로 구성된 전문화된 민간경비 기동성을 활용하여 산불을 관리하고 예산을 절감하여야 한다. 비전문가로 구성된 연세 많으신 인원과 산불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만으로는 산불을 제대로 예방하고 조기에 소화할 수 없다.

이제는 첨단장비에 의한 산불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불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첨단장비를 갖춘 책임 있는 민간경비의 도입이 필요하다. 즉 시설경비업무, 기계경비업무처럼 산불관리를 위한 산을 전문으로 관리하는 산불관리경비업무로 책임성 있게 관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