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야놀자!]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과 애견미용샵 마케팅 접근

2023-07-30     박지영 기자

☞굿위드 경제야 놀자!

주변에 거리를 산책하거나 돌아다니다 보면 강아지와 함께 산책하시는 분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만큼 요즘 반려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22년 1월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수는 전체 2304만 가구 중 27.7%인 638만 가구로 4가구 중 1가구 이상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려동물의 개체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9년에 1000만 마리를 넘어섰으며, 2026년에는 1520만 마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에 맞춰 펫케어 시장 규모 역시 최근 5년간 연평균 8.4%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펫케어 시장 규모는 2017년 14.8억 달러에서 2020년 17.9억 달러로 성장하였으며, 2026년에는 27.9억 달러(한화로 약 3조 50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에 맞추어 다양한 산업군을 만들어 내고 있다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은 애견미용샵과 애견용품샵이다. 또한 반려동물을 전문적으로 케어 하기 위한 다양한 상품들(반려동물 침대, 드라이룸, 카시트, 액세서리, 이동장 등)과 동물유치원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는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의 접근이 산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반려동물 산업 중에서 소상공인이 가장 많은 애견미용샵의 마케팅 전략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1. 반려동물 시장의 변화와 애견미용샵의 마케팅적 접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늘어나고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은 반려동물 시장에도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육하고 키운다는 관점에서 가족의 편의성과 품질에 관심이 크다. 최신 반려동물 시장의 트렌드로 2023년 4월에 모바일트렌드에서는 3가지의 키워드를 제시하고 있다.

- Professional Care (대충 키우지 않고 제대로 키운다)

- Together Time (가족이기에 소중한 시간을 함께 보낸다.)

- Segmented Market (세분화된 니즈를 공략하기 시작)

Professional Care는 반려동물 건강/병원 앱의 성장이나 케어와 관련된 제품 판매 성장, 반려동물 전문 서비스 등이 있다.

Together Time은 반려동물 식당이나 동반 스파, 동반 호텔, 유모차, 이동장이나 백팩, 반려동물 여행앱 등이 있다.

Segmented Market은 주인 부재 시 관리하는 화장실, 급식기, 펫시터 등이 있다.

2. 애견미용샵의 마케팅 접근 전략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과 변화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시장에 대한 마케팅 접근이 중요해진 시장으로 변화했다. 애견미용샵의 입장에서도 이는 주요하다. 시장을 강아지 미용이 필요한 견주라는 큰 카테고리로 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면 다른 사업장과 차별화가 없게 된다.

마케팅 차별화를 위한 STP전략은 Segmentation(시장세분화), Targeting(타겟팅), Positioning(포지셔닝)이다. 시장세분화는 애견미용이라는 큰 시장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규모와 접근 가능한 시장으로 고객의 욕구에 따라 시장을 분리해서 보는 것을 뜻한다. 타겟팅으로 세분화 한 시장에서 자신이 접근 가능 하고자 하는 시장을 타켓팅으로 정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자본 등을 고려하여 접근할 수 있는 시장을 정해야 한다. 그 후 시장 내에서 다른 경쟁자와 대비하여 고객에게 어떻게 기억에 남길 것인가 포지셔닝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애견미용샵 시장의 고객을 세분화하면 소형견인지, 대형견인지, 입양초인지, 노령견인지, 청년견인지에 따라 다르다. 또한 견주들의 특성(여행을 좋아한다거나, 집에서 있는 것을 좋아한다거나 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해당 미용의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다. 노령견의 경우 피부질환 등이 있어 미용 서비스를 꺼려하는 고객을 고려하여 노령견에 맞춘 서비스를 개발한다거나 애견에게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여 프리미엄 서비스를 강조하고 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안하는 시장 환경이 필요하다.

애견미용실에서는 애견용품과 사료, 간식을 함께 판매하고 있지만 애견용품 전문점 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상품 구성의 다양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애견용품에 대해서도 매장만의 특별한 차이를 줄 필요가 있다. 모든 용품과 사료, 간식을 가져다 놓을 필요가 없다. 지역 상권을 고려하여 저렴한 것만 판매하거나 구하기 쉽지 않은 프리미엄 상품만 판매할 수도 있다. 아니면 일상적으로 많이 구매하는 용품을 판매할 수도 있다. 모든 것의 출발은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상권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으로 고객 중심이 되어 서비스를 해야 한다.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은 관련 산업이 성장한다는 것으로, 이는 반대로 경쟁이 치열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애견미용도 고객을 세분화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홍보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항상 고객의 욕구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기획하고 알려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자.

 

 

<약력>

▲  안시헌 경영지도사 

사)청년지식융합협회 이사

경영컨설팅 자문

경영지도사

역량강화 컨설턴트

자영업컨설턴트

업종닥터

현장클리닉 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