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바보 같은’ 내 친구 1.
그가 청주에 올 때 이따금 술자리를 갖곤 했다. 나라 돌아가고 있는 위태로움에 대해 술자리에서 쏟아내는 그의 달변은 언제나 폐부를 찌르는 날카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그 뒤끝엔 정의당에 대한 애정과 쓸쓸함이 있었다.
20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정의당과 인연을 맺은 내 친구 김종대는 늘 자신을 ‘구국의 강철 이빨’이라 칭했다. 나라 생각하는 논리에선 누구와 견줘도 뒤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일 터인데, 그런 그에게도 이번 22대 총선에서 ‘몰락의 길’을 걷게 된 녹색정의당은 언제나 아픈 손가락이었을 터였다.
차라리 갈아타는 게 어떻겠냐는 내 조언은 너무 안쓰러워 나왔던 말이다. 그 친구는 단호히 말하곤 했다.
“의리가 있지, 더구나 숨이 꼴딱 넘어가는 지경에 놓인 정의당을 두고 나마저 떠난다면 누가 지키누. 그건 사람의 도리가 아니지 싶어.”
“이쪽 동네가 훨씬 재밌어”
어느 날 문득 한겨레신문에 실린 그의 칼럼을 보며, 이 양반 꼭 한 번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날카롭고 논리정연한 글을 보며 이젠 ‘전가의 보도’처럼 여기던 보수의 국방과 안보가 이젠 진보 진영으로 넘어오겠구나 싶기도 했다. 박학다식한데다 깊이까지 있었다.
그런데 많이 본 듯한 얼굴이다. 세월이 많이 지나 이 얼굴이 그 얼굴일까 싶기도 했다. 앨범을 뒤져보니 맞는 얼굴, 참 반가웠다.
그 친구와 나는 청주고등학교 57회 동창이다. 그 친구는 6반, 나는 4반이었다. 얼굴을 알았지만, 서로 대화를 나눈 기억은 없다. 그나 나나 나서는 편이 아니었기에 그랬으리라.
4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뒤 칼럼을 쓰게 됐노라며 신문사를 찾아온 그와 만났고, 우린 친구가 됐다. 그 세월도 벌써 6, 7년 됐나 싶다.
그가 요즘 방송 패널에 정치평론가로 나와 입담을 쏟아내는 걸 종종 본다. 입체적 사고, 인문학적 사고, 논리적 사고를 가진 균형 잡힌 인물이라는 확신이 들곤 한다.
특히 인문학적 사고는 그의 매력이다.
그나저나 그는 몇 개월 전 지상파 방송에서 ‘퇴출’됐다. 두루 팬덤을 형성하고 있었음에도, 강한 진보적 사고를 지닌 그가 정부 여당에 쏟아내는 비판이 문제가 됐을 터였다. 결국 유튜브 방송으로 ‘말 마당’을 옮긴 그는 태연히 말한다.
“이쪽 동네가 훨씬 재밌어.”
경우에 안 맞는 건 평양감사도 안 돼
더불어민주당 22대 국회의원 당선인인 부승찬씨가 김종대 정의당 국회의원의 보좌관 출신이었다는 것을 방송을 통해 알았다. 부씨의 능력과 인물됨을 간파한 그는 정의당 국회의원으로 있을 때 자신의 보좌관으로 그를 모시기 위해 5번이나 찾아갔다고 한다. ‘삼고초려’를 넘어 ‘오고초려’였다.
부 당선인이 말했다.
“제가 김 의원님 보좌관으로 있을 당시 김 의원님에게 제의가 왔었어요. 방위사업청장으로 모시고 싶다는 내용이었죠. 물론 저는 당연히 방사청장으로 가실 거라고 생각했는데, 김 의원님은 단칼에 거절하시더군요. 임명 제의에 대한 동의를 정의당에 먼저 구했어야 했다는 거죠. 그건 무례라고, 무례한 요청엔 응할 수 없다면서 말이죠.”
박영선 총리 카드를 슬쩍 언론에 흘려보는 현 정권의 지난 행태와, 이에 알 듯 모를 듯 ‘협치 운운’ 애매한 대답을 내놓은 박 전 의원의 모습은 참 대비돼 보였다.
경우에 안 맞는 건 평양감사도 안 된다는 게 그의 태도이자 신념이다.
세상 편하게 살자는 건 아니지만, 두루 좀 원만했으면 하는데, 그가 가지고 있는 세상살이는 정의롭지 못한 것이라면 무조건 ‘NO’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