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교통안전, 18개 기관 공동의 해법 모색
대전국토청, 유관기관 협업체계 강화 나서 '2025 상반기 충청권 교통안전협의체' 개최 지역 맞춤형 정책과 현장 실천 과제 집중 논의 보행자·고령자·화물차 등 교통약자 중심 대응 강화
충청권의 도로 안전을 근본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공동의 발걸음이 본격화됐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지난 26일 '2025 상반기 충청권 교통안전협의체'를 소집하고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축을 위한 맞춤형 대책과 유관기관 간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협의체는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광역지자체를 포함해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버스 ·화물운송업계 등 18개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각 기관은 자체 추진 계획과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공동 실천과제 발굴에 초점을 맞췄다.
충청권은 최근 수년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점진적으로 줄고 있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고령자·보행자·화물차 관련 사고는 여전히 일정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줄이기 위한 다각적 접근과 협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중대 사고 빈발 국도구간 집중관리 △교통약자 맞춤형 시설 확충 △화물차 운행 안전 강화 △안전문화 확산 캠페인 등 18개 중점 과제를 중심으로 기관 간 협업을 구체화하고 있다.
회의에서는 실제 도로 현장의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천 전략이 중심이 됐다. 기관 간의 데이터 연계, 사고 다발 지역에 대한 공동 분석, 안전 인식 제고를 위한 대중 참여 방안 등이 활발히 오갔다.
방윤석 대전지방국토관리청장은 "교통안전은 특정 기관의 단발성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복합적 과제"라며 "이번 협의체를 통해 기관 간 실질적 연대가 더욱 견고해지길 기대하며, 충청권 전역에 지속가능한 교통안전 문화가 뿌리내리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어 "사망사고는 한 사람의 생명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그 지역 전체의 안전 시스템을 상징하는 지표"라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정책과 시민 참여형 안전운동을 함께 추진해, 실효성 있는 결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하반기 중 협의체 후속 회의를 열고, 상반기 과제의 이행 성과를 점검하는 한편, 교통사고 다발 지역에 대한 추가 분석과 현장 중심 캠페인 확대 등을 통해 시민 체감형 교통안전 정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