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 요로소, 관습법으로 평화를 기록하다

요로소 시, DPCW 반영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 시민 담화 바탕…5월 25일 '요로소 평화의 날' 지정 지역 기반 평화정착 모델…HWPL과 공식 협력 선언 갈등을 넘어 공존으로…아프리카 평화 거버넌스 아프리카 지역 거버넌스 혁신 사례로 부상

2025-06-18     이한영 기자
▲ 말리 요로소 시의원들이 결의안 채택을 논의하고 있다

아프리카 말리 남부의 작은 도시 요로소(Yorosso)가 시민의 손으로 평화의 제도화를 이루며 아프리카 평화운동사에 의미 있는 획을 그었다.

요로소 시의회는 지난 5월 26일 특별 본회의를 열고,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PCW)'의 제10조 '평화문화 전파' 조항을 반영한 관습법 결의안을 전원 찬성으로 채택했다. 이날 회의에는 시장과 시의회 의원 23명이 참석해 지역 역사상 최초로 평화 관련 법적 장치를 직접 채택한 순간을 함께했다.

이 결의안은 지역 주민의 실제 목소리를 반영한 실천적 평화의 틀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시민참여 담화는 HWPL(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 말리 지부와 시정부의 공동 주도로 진행됐으며, 지역 내 갈등 해결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현실적 방안이 논의됐다.

시민들의 참여는 선언적 수준을 넘어서 결의안 초안 작성에까지 이어졌다. 특히 시장은 초기 논의부터 최종 문안 조율까지 직접 관여해, 행정과 시민사회가 수평적 협력으로 평화정책을 도출해 낸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번 결의안은 2016년 3월 14일 선포된 DPCW의 목적과 원칙을 근간으로 하며, 평등한 시민 참여, 갈등 예방, 평화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기반을 명문화했다. 무엇보다 요로소 시는 결의안을 통해 HWPL 말리지부를 시의 공식 협력 평화기구로 승인하고, 매년 5월 25일을 '요로소 평화의 날'로 제정했다.

캘리 아카 HWPL 말리지부 담당자는 "이번 결의안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평화가 아니라, 주민 스스로 갈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평화의 방식을 선택한 결과"라며 "이러한 자발적 모델이 말리 전역으로 퍼져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 주민들도 실질적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 요로소 시에서는 청소년 평화교육, 거리 환경 정화 활동, 문화예술 축제 등 다양한 시민 주도 프로그램이 정기적으로 펼쳐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뢰 기반의 공동체 의식이 뿌리내리고 있다.

HWPL 말리지부는 상시 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정기 교육 시스템과 자발적 조직 운영을 통해 자립형 지역 평화체계를 정착시켜 왔다. 이러한 자생적 구조가 이번 결의안의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HWPL 국제부 관계자는 "무력 충돌과 정치적 불안정이 고조되는 글로벌 상황에서 요로소 시의 결의안은 시민 주도 평화정책이 가능하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지금이야말로 세계 각국이 DPCW를 바탕으로 평화를 제도화할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을 마련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요로소 시는 평화문화를 일상으로 확산하기 위해 전통 축제를 통한 세대 간 화합 프로그램, 지역 관습 기록화 사업, 청년 자원봉사 활성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관습법 결의안은 말리뿐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시민이 주도하는 평화'라는 새로운 화두를 던지며, 지속 가능한 지역 거버넌스 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