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야 놀자!] 보험료 지원

2025-07-25     박지영 기자

☞굿위드 경제야 놀자!

이번 칼럼에서는 회사에서 임직원등에 대한 보험료 지원에 대해서 근로소득 과세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1) 원칙(과세)

종업원이 계약자이거나 종업원 또는 그 배우자 기타의 가족을 수익자로 하는 보험・신탁 또는 공제와 관련하여 사용자(회사)가 부담하는 보험료・신탁부금 또는 공제부금은 과세 근로소득에 해당한다(소령38①12).

① 운전자보험, 종업원신원보증보험의 보험료(근로소득으로 과세)

운전자를 피보험자로 하여 가입한 운전자보험이나 종업원의 신원보증보험의 보험료 불입액은 과세대상 근로소득에 해당한다(소득1264-1182, 1978,05.22.; 소득1264-986, 1983.03.05.).

② 저축성보험의 수익자를 임원으로 변경 시 과세 여부 및 소득구분(퇴직소득으로 과세)

법인이 계약자 및 수익자를 법인으로, 임원을 피보험자로 하는 보험(저축성보험)에 가입하고, 임원 퇴직 시 저축성보험의 계약자 및 수익자를 법인에서 피보험자(퇴직임원)로 변경하는 경우 법인이 부담한 저축성보험(임원퇴직 당시 저축성보험의 평가액)은 퇴직 임원의 퇴직소득에 해당한다(재소득-109, 2011.03.28.).

(2) 예외(비과세)

① 단체순수보장성보험료

종업원의 사망・상해 또는 질병을 보험금의 지급사유로 하고 종업원을 피보험자와 수익자로 하는 보험으로서 만기에 납입보험료를 환급하지 아니하는 보험의 보험료 납입금액 중에서 연 70만원 이하의 금액은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아니한다(소령17조의4 3가).

다만, 연 70만원 초과 보험료불입액은 과세대상 근로소득에 해당한다.

②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료

㉠ 의의

종업원의 사망・상해 또는 질병을 보험금의 지급사유로 하고 종업원을 피보험자와 수익자로 하는 보험으로서 만기에 납입보험료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환급하는 보험의 보험료를 말한다(소령17조의4 3가).

㉡ 비과세 대상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의 납입보험료 중 연 70만원 이하의 금액은 비과세한다(소령17조의4 3가).

다만, 계약기간 만료전 또는 만기에 종업원에게 귀속되는 납입시점 과세제외분에 대한 환급금*은 과세대상 근로소득으로 본다. 그러므로 보험환급금 중 과세근로소득해당 분은 연말정산 시 전근무지 소득으로 보아 합산 신고하여야 한다.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의 환급금×(납입보험료 중 연70만원 이하 금액의 합계액÷납입보험료의 합계액)(서면1팀-921, 2004.07.07.)

 

◎ 보험료지원형태별 과세여부 및 한도

주1.종업원의 사망・상해 또는 질병을 보험금의 지급사유로 하고 종업원을 피보험자와 수익자로 하는 보험으로 만기에 환급되지 않는 보험을 “단체순수보장성보험”이라 하고, 만기에 환급보험료가 납입보험료를 초과하지 않는 보험을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이라 함.
 

주2.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의 환급금 중 근로소득으로 보는 범위는 다음과 같으며, 종업원의 사망・부상・질병으로 종업원 또는 그 유족이 지급받는 보험금은 과세대상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음.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의 환급금×(납입보험료 중 연 70만원이하 금액의 합계 ÷ 납입보험료 합계)

주3.보험금을 종업원에 지급 또는 보험계약자 및 수익자를 종업원으로 변경시에는 해당 근로자의 근로소득으로 봄.

③ 4대보험 회사부담분(비과세)

국민건강보험법・고용보험법 또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라 사용자가 부담하는 부담금은 비과세 근로소득에 해당한다(소법12조3너).

④ 임직원 책임배상보험(비과세)

임직원의 고의(중과실을 포함) 외의 업무상 행위로 인한 손해의 배상청구를 보험금의 지급사유로 하고 임직원을 피보험자로 하는 보험의 보험료는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아니한다(소령17조의4 3나).

 

 

   

 

              <약력> 

▲ 차재영 세무사

서울벤처정보대학원 경영학박사

서울벤처정보대학원 경영학석사

중앙대학교 무역학과

세무법인 한백택스 대표

(사)청년지식융합협회 이사

㈜굿위드연구소 자문 세무사

CFO 아카데미 연말정산 센터장

대한상공회의소 생산성본부 강사

굿위드아카데미 세무 강사

서울시 조세담당위원, 조세일보 객원 기자

대한상공회의소 CEO IT 경영자문위원

서울지방세무사회 연수위원

충청일보 ‘경제야 놀자’ 연재

 

 

 

※외부기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