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노조, 美 관세 우려 속 총파업 논란
노조, 영업이익 10% 전액 요구 기본급 '1700%+α' 제안 거부 국제 불확실성 속 산업계 부담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미국의 고율 관세 압박이라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이한 가운데 SK하이닉스 노동조합이 임금협상 결렬을 이유로 창사 이래 처음 총파업 투쟁을 결의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가 ‘최혜국 대우’를 확보했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커지는 국제 정세 속 집단행동이 기업과 산업 생태계 전반에 부담을 더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품목에 최대 100%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한국 정부는 한국산 반도체가 최혜국 대우(MFN)를 적용받는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최혜국에 대한 약속을 받았다”며 “만약 최혜국 세율이 15%로 정해진다면 한국 제품에도 동일한 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100%가 되든 200%가 되든 상관없이 우리는 MFN 약속을 받은 상태”라고 말한 바 있다.
이처럼 반도체 통상 환경이 민감하게 흔들리는 상황에서 SK하이닉스 노동조합이 지난 6일 청주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강경 투쟁을 선언한 것은 산업계 안팎의 시선을 끌고 있다.
노조는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전액 지급하라”는 기존 요구를 재차 강조하며, 사측의 상한선 제시(기본급 1700%+α)에 반발해 10차 교섭에서 결렬을 공식 선언했다. SK하이닉스 노조가 총파업 결의를 밝힌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핵심 쟁점은 지난 2021년 노사가 체결한 성과급 기준 합의다.
노조는 이 합의에 따라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문구를 근거로 전액 배분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이는 재원 산정 기준일 뿐 지급 방식과 한도는 사안별로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올해 하이닉스의 예상 영업이익은 약 30조원. 노조 요구대로 전액을 재원으로 배정할 경우 약 3조원이 성과급으로 책정된다. 전체 직원 약 3만명 기준으로 단순 계산하면 1인당 1억원 규모다. 이는 업계에서도 이례적인 고액 보상이다.
사측은 기본급의 1700%까지 성과급 지급 상한을 대폭 올리고, 초과 재원은 연금이나 적금 형태로 분산해 지급하겠다는 유연한 방안을 제시했다. 사측이 처음 제시한 1700%만 하더라도 연봉의 85%에 해당하는 만큼 연봉 1억원인 직원은 85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23조467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성과급으로 기본급의 1500%(PS 1000%+특별성과급 500%)와 자사주 30주를 지급했다. 올해는 AI 메모리 수요 확대에 힘입어 30조원에 육박하는 실적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지역의 한 경제전문가는 “성과에 대한 합당한 보상 요구는 타당하나,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국가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오는 12일 이천캠퍼스 수펙스(SUPEX)센터 앞에서 2차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를 예고하고 있다. /김재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