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지사, 지선 9개월 앞두고 악재 ‘첩첩산중’

공수처 고발·오송참사 국조에 금품수수 의혹까지  정무라인 공백 사태 등 선거 준비 '가시밭'

2025-08-24     배명식 기자
▲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지난 6월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민선 8기 4년 차 도정 운영 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지방선거를 9개월여 앞둔 상황에서 쌓여가는 악재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김 지사의 재선 도전이 확실시 되고 있지만 악재들을 깔끔하게 해결하지 않을 경우 선거에 적잖은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지난 21일 도청에 수사관 9명을 보내 도지사 집무실과 비서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김 지사는 지난 6월 26일 오전 집무실에서 윤현우 충북체육회장으로부터 현금 500만원이 든 봉투를 건네받은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를 받는다.

김 지사는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정치권은 경찰이 사상 초유의 도지사 집무실 압수수색이라는 '초강수'를 꺼내면서 김 지사의 재선 가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범죄 혐의가 일부라도 입증되고 검찰 수사와 재판까지 이어진다면 2026년 6월 지선은 필패에 가깝기 때문이다. 

정치인으로 가장 경계해야할 것 중 하나가 돈 관련 문제인데 김 지사는 이미 돈 문제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된 상태다. 

김 지사는 2023년 10월 자신의 한옥과 토지를 담보로 A 폐기물 업체에서 30억원을 빌렸다. 

시민사회단체는 A 업체의 실질적 소유주로 알려진 B씨와의 대가성이 의심된다며 경찰에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위반, 강제 집행면탈 및 수뢰 혐의로 고발했다.

경찰은 수사결과 금전 거래에 대가성이 없다고 보고 무혐의 처분을 내렸고 시민사회단체는 이에 반발해 공수처에 고발했다. 

돈 문제 외에 오는 27일 국회에서 처리 예정인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도 김 지사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당초 이달 4일 열렸던 7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었다가 밀린 사안인 만큼 이번 회기 처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또 정무라인 줄 사퇴로 인한 공백도 선거 준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달 12일 손인석 정무특별보좌관이 임용 6개월만에 전격 사직했다. 

김수민 정무부지사도 취임 1년여 만인 오는 9월 초 퇴임할 예정이다.

최진현 정무수석보좌관도 지선 일정에 맞춰 올해 하반기 사직할 것으로 알려졌고 유승찬 대외협력관은 최근 도청을 떠났다.

정무라인은 의회나 정부, 정당, 시민단체, 언론과 협력관계 유지 등을 수행하면서 사실상 김 지사의 정치보좌 역할도 담당한다.

정무라인 공백은 앞으로 도정 운영이나 지선 준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김 지사의 잦은 정무라인 교체로 새로운 인재 영입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선거를 준비하는 김 지사나 공천권을 가진 국민의힘 모두 수사 상황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동안의 논란이나 구설보다 더 큰 파장을 부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배명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