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마늘연구회, 마늘 명품화 사업 단양군과 '마찰'
연구회 “보조사업과 무분별한 품종 보급 중단하라” 촉구
충북 단양마늘연구회(이하 연구회)가 단양군이 추진 중인 ‘단양마늘 명품화 사업’과 관련해 의견 대립으로 갈등을 빚고 있다.
연구회는 군의 무분별한 보조사업 중단과 단양 충북도마늘연구소의 검증되지 않는 품종 보급이 단양마늘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고 주장했다.
2일 연구회원 30여 명은 단양군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군의 종구(씨 마늘) 사업 추진과 우량종구 농가 선정에 문제가 있다며 불만을 털어 놨다.
이들은 단양의 토종 마늘 대신 홍산과 통통, 다산 등을 보조 사업을 통해 보급하면서 단양마늘의 옛 명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했다.
또 단양마늘 지리적표시제 관리권이 특정 영농조합법인에 20년 넘게 위임된 것과 종구 전문 생산농가 선정 과정의 불공정성을 강하게 지적했다.
연구회는 “최근 이상기후로 토종마늘에서 희귀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외래 품종으로 단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다.
또 “토종 단양마늘 외 다른 품종에 대한 보조금 지원 제한 조례 제정과 어상천 마늘연구소 이전과 전수 감사가 요구된다”고 촉구했다.
군 농기센터는 “단양 재래종의 순도와 품질 보존이 사업의 핵심 목표”라며 농가 측의 일부 주장을 반박했다.
군은 지난해 우량종구 생산을 위한 시범사업에 참여한 14농가 중 11곳이 탈락한 사례를 들며 일부 포장에는 단양 재래종과 전혀 다른 ‘이형주(異形株)’가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군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진행된 현장 확인에서 권영석 박사(지오텍 대표)는 “단양 재래종에 다른 품종이 혼입된 상태였으며 잎 색깔, 형태, 바이러스 감염 증상 등에서 명확한 차이가 관찰됐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제로 시범농가 14곳 중 8곳이 혼종이 발견됐으며 마늘은 영약생식 작물로 자연교잡 가능성이 없다”면서 “관리 부주의나 종구 관리 미흡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단양=목성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