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수확기 대비 농촌 인력 지원 강화
도시농부·외국인 계절근로자·취약계층 농작업 대행 서비스 확대
충북도가 본격적인 수확철을 맞아 다양한 농촌 인력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도시농부 등 내국인과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활용한 맞춤형 농촌 일손 지원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우선 충북형 도시농부와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한 전문 인력 지원을 확대한다.
전국 최초 도농 상생형 일자리 정책 '충북형 도시농부'는 4만7000여 명이 등록했고 2만여 농가가 참여하고 있다.
올해도 연인원 23만명이 농가 일손을 도왔다.
도내 9개 시군에서 운영 중인 농촌인력중개센터는 영농작업 전문반을 중심으로 인력풀을 키운다.
과수·밭작물 농가에 5만6000여 명의 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안정적인 외국인 계절근로자 운영에도 나선다.
올해 도내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작년보다 18.6% 늘어난 4672명이 1545 농가에서 활동한다.
최근 5년간 무단이탈 비율 역시 전국 평균(2.5%)의 절반 정도인 1.1%로 대폭 낮췄다.
도내 5곳에서는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을 운영해 4000여 농가에 1만4000여 명의 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도는 농촌 일손 지원과 함께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도 확대한다.
이 서비스는 70세 이상 고령층, 경영규모 1㏊ 미만 영세농,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주요 농작업을 대행해주는 제도다.
현재 11개 시군 17개 농작업 대행 서비스 센터를 통해 운영비와 인건비를 지원하고 있다.
희망 농가는 관할 시군 농업기술센터나 농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지난해는 8000여 농가 3015㏊에 대한 농작업 지원이 이뤄졌다.
도 관계자는 "도시농부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병행해 균형 있는 인력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영농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명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