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 21% 늘어 25만명…충북 가장 높은 증가 폭 보여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 수가 전년 대비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단위에서 충북은 가장 높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교육부는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은 교육부가 대학 경쟁력을 높이고 학령 인구 감소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2023년 수립한 정책이다.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부터 교육, 취업, 정주까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체계적인 지원 전략을 마련하고, 이공계 인재를 집중적으로 확보해 2027년까지 유학생 30만명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교육부가 올해 유학생 현황을 조사한 실시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은 전년(20만9000여 명) 대비 21.3% 늘어난 25만3000여 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학위 과정 유학생은 17만9000여 명으로 전년(14만6000여 명)보다 22.6% 증가했다.
전체 유학생 중 학위 과정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70.7%였다.
4년제 대학교 유학생 비율은 83.8%로 전년(86.6%)보다 감소했고, 전문대 유학생 비율은 전년(11.6%)보다 늘어 14.8%였다.
전공별로는 이공계열이 전년 21.4%에서 올해 23.9%로 소폭 올랐으며 인문·사회계열은 64.8%에서 63.9%로 하락했다.
유학생의 출신 국가로는 중국이 30.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베트남(29.7%), 우즈베키스탄(6.2%), 몽골(6.0%) 순이었다.
비수도권 소재 유학생은 전년 9만2천19명(44.0%)이었으나 올해에는 11만6043명(45.8%)으로 2만명 넘게 뛰었다.
충북이 전년 5053명에서 올해 1만537명으로 늘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 폭인 92.1%를 기록했다.
교육부는 "충북이 유학생 1만명 유치를 위한 지원본부를 설립하고 한국어 시험 등을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을 강화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유학생의 수를 늘리면서도 '질적 관리' 역시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내년부턴 신입생 공인 언어능력 기준을 높이고, 유학생이 중대한 사항을 위반할 경우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로 최대 3년간 비자 발급을 제한한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이번 점검을 통해 유학생 친화적 교육환경 조성 및 취업·정주 여건 개선 등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범부처 협업을 통해 규제 개선 과제를 발굴하는 한편, 유학생 질 관리 지원을 강화해 외국인 유학생이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진재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