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꿈꾸는 노후 월 350만원… 현실은 230만원 ‘120만원 부족’
실제 은퇴는 희망보다 9년 빨라… 주택연금 활용 의향도 ‘1/3 수준’
우리나라 국민이 생각하는 ‘행복한 노후’에는 매달 약 35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이 가운데 약 66%만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시점도 희망보다 평균 9년 이상 빠른 것으로 조사돼 노후준비에 대한 인식과 현실 사이의 간극이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28일 발표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은 노후 적정 생활비로 월 평균 350만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의식주 해결에 필요한 ‘최소 생활비’ 월 248만원보다 100만원 이상 많은 금액이다.
그러나 실제 노후에 조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금액은 평균 230만원으로, 적정 생활비 대비 65.7% 수준에 그쳤다. 최소 생활비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국민들은 “노후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매달 120만원이 더 필요하다”고 체감하는 셈이다.
이는 올해 5월 30일부터 6월 18일까지 전국 25∼74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다. 지난해 같은 조사 대비 최소 생활비는 3만원, 적정 생활비는 19만원 감소해 경제상황을 반영한 ‘노후 기대 축소’도 엿보인다.
노후 생활비 조달 수단으로는 국민연금(88.6%)이 가장 많았으며 △금융소득(50.2%) △개인연금(47.8%) △근로소득(47.5%) △퇴직연금(42.2%) 등이 뒤를 이었다. 복수응답 결과로 대부분이 여러 소득원을 고려하고 있지만 국민연금 의존도가 압도적인 상황이다.
조사에 따르면 아직 은퇴하지 않은 2401명이 바라는 평균 퇴직 나이는 65세였다. 그러나 이미 은퇴한 503명의 실제 퇴직 시점은 평균 56세로, 희망보다 무려 9년이나 앞선 조기 은퇴가 현실이었다.
노후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평균 연령은 48세로 조사돼 퇴직과 준비 시점 사이의 준비 기간도 짧은 편으로 나타났다.
보유 주택을 담보로 생활자금을 받는 주택연금제도에 대해 ‘활용 의향이 있다’ 또는 ‘이미 활용 중’이라고 답한 비율은 33.3%였다. 반면 ‘생각해 본 적 없다’(33.6%), ‘의향 없다’(33.0%)는 답도 각각 3분의 1을 넘겼다.
여전히 주택을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거부감이나 정보 부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271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노후 거주지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의료시설’로 꼽혔다. 이어 교통 인프라, 자연환경(공원 등), 마트·편의점 등 생활 인프라가 뒤를 이었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서 의료 접근성에 관한 관심이 핵심 요건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재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