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로봇, 조선소와 도심을 누비다… KAIST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도전

로봇 스타트업의 현장 도전 산업 자동화와 휴머노이드 보행기술 KAIST 원천기술의 산업 확산

2025-09-30     이한영 기자

산업 현장과 도시 공간이 KAIST 기술을 바탕으로 한 로봇 스타트업들의 무대가 되고 있다. 

철제 벽과 천장을 오르내리는 산업용 보행 로봇, 인파 속을 자연스럽게 걸어가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험실을 벗어나 상용화 단계에 올라섰다.

KAIST는 산학협력의 대표 성과로 ㈜디든로보틱스와 유로보틱스㈜를 꼽고 있다. 두 기업은 연구실에서 잉태된 기술을 산업 현장과 도심 속 실제 무대로 옮겨내며 로봇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 디든로봇(Diden 30)

디든로보틱스는 철제 구조물과 벽면, 천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승월(昇越) 로봇'으로 조선업의 자동화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했다.

창업 1년 반 만에 삼성중공업 현장에서 실제 용접과 검사 작업을 수행하며 기술력을 입증했고, HD현대삼호·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대기업들과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 KAIST 휴보랩 출신 연구진이 창업한 이 회사는 사족보행 로봇 'DIDEN 30'을 비롯해 차세대 2족 보행 로봇 'DIDEN Walker'를 개발 중이다.

▲ 디든로봇의 외부철판(론지) 및 용접 테스트

디든로보틱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하드웨어 성능에 그치지 않고 AI와 결합했다는 점이다. 자체 플랫폼 'DIDEN World'를 활용해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데이터를 확보하고, AI가 시행착오 없이 학습하도록 돕는 방식을 구현해 학습 효율과 안전성을 높였다.

▲ (주)디든로보틱스 연구팀(김준하 대표 아래쭉 가장왼쪽)

김준하 대표는 "삼성중공업 현장에서 진행한 테스트로 우리 기술의 실용성과 안정성을 확인했다"며 "조선업의 인력난 해소와 자동화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 유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의 보행모습

유로보틱스는 휴머노이드 자율보행 기술로 강남 도심을 걸어 다니며 주목을 끌었다. 핵심은 외부 센서 없이 로봇 내부 데이터만으로 지형을 인식하며 걷는 '맹목(blind) 보행 제어기'다.

▲ 유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의 보행 모습

날씨와 빛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며, 계단과 보도블록 같은 환경에서도 강한 성능을 보였다. 

KAIST 명현 교수 연구팀에서 출발한 이 기술은 국제 학회에서 MIT를 제치고 우승한 경험이 있으며, 창업 이후 실외·실내 산업 현장 적용을 목표로 고도화됐다.

▲ (주)유로보틱스 연구팀(유병호 대표 윗줄 가장왼쪽)

유병호 대표는 "이번 영상은 휴머노이드 완전 자율보행을 향한 첫걸음"이라며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KAIST는 학내 연구성과가 산업 현장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배현민 KAIST 창업원장은 "연구자가 창업에 도전할 때 초기 단계부터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으며, 이광형 총장은 "이번 성과는 원천기술이 창업을 통해 산업 혁신으로 이어지는 대표 사례"라며 "KAIST는 글로벌 로봇산업을 선도하는 산실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