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현 의원 "정책은 숫자가 아니라 체감이다… 구민이 변화를 느끼게 해야"

세대통합어울림센터, 운영 중심의 전략 설계 주문 지방소멸대응기금·여성친화도시 정책 전면 재점검 필요 "삶 속에서 변화 체감하는 동구, 행정이 응답해야"

2025-10-20     이한영 기자
▲ 이지현 의원, 구정질문

"정책은 보고서 안의 숫자가 아니라, 구민의 일상에서 느껴져야 합니다."

대전시 동구의회 이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다선거구)이 본회의장에서 던진 이 한마디가 공직사회의 긴장감을 높였다. 

20일 열린 289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지방소멸대응기금과 여성친화도시 정책의 실질적 개선을 요구하며 행정의 '현장 감각'을 되살릴 것을 촉구했다.

이지현 의원은 "세대통합어울림센터가 건물로만 남는다면 진정한 의미를 잃게 된다"며 "인구 유입과 정주 여건을 높이는 핵심 공간이 되려면 운영비, 프로그램, 관리 체계를 유기적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소멸대응기금은 매년 성과에 따라 지원 규모가 달라지는 만큼, 지금부터 기금사업 간 연계성과 성과관리를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실적 중심의 집행에서 벗어나 지역의 미래 구조를 바꾸는 투자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성친화도시 정책도 날카롭게 짚었다. "2015년 지정 이후 47개 사업이 진행됐지만 여전히 주민들은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표 중심의 행정에서 벗어나 지역의 삶을 바꾸는 생활밀착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여성친화도시의 진정한 가치는 주민이 느끼는 변화에 있다"며 "부서 간 협업을 강화하고, 여성의 안전·돌봄·일자리 등 실제 생활과 맞닿은 현안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사람이 떠나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도시를 만드는 것이 진짜 행정의 역할"이라며 "서류상의 성과가 아닌 구민의 체감으로 이어지는 정책 추진에 동구가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현 의원의 이번 발언은 형식 중심의 행정이 아닌 '체감과 변화'로의 전환을 촉구하는 강한 메시지로, 동구의 정책 방향에 새로운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