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장애와 경제의 경계를 허무는 도시로
일할 권리가 곧 삶의 자립이 되는 현장 정책이 연결되고, 현장이 응답하다 포용의 일자리, 대전이 먼저 움직인다
대전이 포용경제의 실험 무대가 되고 있다. 4일 열린 '2025 대전 장애인 취창업박람회'가 장애인의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도시의 비전을 제시했다.
박람회는 대전시가 주최하고 (사)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 대전지부가 주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대전지역본부가 후원했다. 현장에는 22개 구인업체와 구직 장애인 400명을 포함해 약 750명이 모여, '함께 일하는 사회'를 실현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면접장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구체적 결과로 드러났다. 구직자 300여 명이 현장에서 면접을 진행했고, 이 중 약 30명이 실제 채용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채용 그 자체보다 장애인과 기업이 서로의 가능성을 발견한 자리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창업을 꿈꾸는 참가자들을 위한 프로그램도 다양했다. 전문 멘토단의 실무형 상담과 맞춤 교육이 마련됐고, 직업상담·노무상담·메이크업·면접사진 촬영 등 실질적인 지원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정보만 얻는 행사가 아니라, 스스로 경제의 주체로 설 수 있는 용기와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행사장 한쪽에서는 장애인기능경기대회 입상작 전시와 직업 체험 부스가 운영돼, 기술과 창의성이 결합된 장애인 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3D 프린팅, 스마트 팜, 커피 제조 등 미래 직종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젊은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19년간 이어진 이 박람회는 단기 취업 연계에 머물지 않고, 지역경제 속에서 장애인 고용이 자생력을 갖추도록 뿌리를 내리고 있다. 시는 장애인 고용 인프라를 강화하고, 맞춤형 직업훈련과 창업 지원, 사회적기업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포용적 일자리 구조를 확장할 방침이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이번 행사는 장애인이 근로자로서 자부심을 세우고, 지역경제의 새로운 동력을 만드는 계기가 됐다"며 "대전이 모두가 함께 일하고 성장하는 도시로 발전하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대전의 고용정책은 통계보다 사람을 향하고 있다. 행정의 목표가 경제 지표에서 시민의 삶으로 옮겨가고 있다. 행정, 기업, 시민이 함께 만든 이 움직임은 대전이 '포용과 혁신의 도시'로 자리 잡아가는 뚜렷한 신호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