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오창서 국산 ESS용 LFP 배터리 생산 돌입

2027년 1GWh 첫 양산… 충북과 손잡고 국내 LFP 생태계 구축 나서

2025-11-17     김재옥 기자
▲ LG에너지솔루션 오창에너지플랜트에서 17일 국내 ESS용 LFP 배터리 생산 추진 기념 행사 ‘오창에서 시작되는 K-ESS, LFP로 더 안전하게’를 개최하고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 분산에너지과 현성보 사무관, LG에너지솔루션 ESS cell개발담당 김기웅 상무, 충청북도청 이복원 경제부지사,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김형식 상무, 커뮤니케이션센터장 김우섭 전무.

 

LG에너지솔루션이 충북 오창에서 국산 ESS(에너지저장장치)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에 나선다. 국내 배터리 기업 가운데 LFP 배터리 양산 경험을 갖춘 곳은 LG에너지솔루션이 유일하다. 이번 국내 생산은 급성장하는 글로벌 ESS 시장에 대응하면서 충북을 중심으로 한 국내 배터리 생태계 강화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배터리 산업의 기술 협력과 생태계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회사는 올해 말부터 생산라인 설치를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 규모는 1GWh로,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설을 검토한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오창에서 국내 최초로 ESS용 LFP 배터리를 양산하게 된 것은 대한민국 ESS 산업을 선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충북이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상무)은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개발·제조 기술이 집약된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 역할을 하고 있다”며 “ESS용 LFP 국내 생산은 우리 산업 생태계의 도전과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중국 남경과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대형 ESS 프로젝트에서 약 120GWh의 수주 잔고를 확보한 상태다. 회사는 이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그대로 오창 공장에 적용해 국내 LFP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국내에는 아직 LFP 관련 소재·부품·장비 공급망이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만큼, 충북도와 국내 소부장 기업들과의 공동 기술 개발 및 단계적 공급망 구축도 추진한다.

글로벌 ESS 시장에서는 이미 LFP 배터리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SNE리서치 등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ESS 시장의 90% 이상이 LFP 기반으로 구축돼 있으며, 안전성과 원가 경쟁력에서 강점을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배터리는 미국 UL9540A 기준을 충족했고, 대형 화재 모의시험에서도 열폭주 상황에서 화염 없이 연기만 발생하는 등 높은 안전성을 입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안정적 생산 기반과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ESS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김재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