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와 주민이 함께 사는 도시로 가는 첫걸음

생활권 환경관리 강화하는 동구의 선택 주민 의견 반영한 급식소 체계 재편 지속 가능한 공존 모델 구축에 집중

2025-11-23     이한영 기자
▲ 길고양이 공공급식소와 홍보 안내문

대전시 동구가 길고양이 문제를 감당해야 하는 동네의 부담을 행정이 직접 품겠다는 메시지를 내놓았다.

민원이 반복되는 상황을 더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동구는 길고양이 급식소를 생활권 중심으로 재정비하고 관리 체계를 새로 짜기 시작했다.

이번에 추가되는 급식소는 세천동 무량사, 용전동 행정복지센터(노후 시설 교체), 성남동 행정복지센터 등 3곳이다. 지역 특성과 주민 요구를 종합 검토해 선정된 장소들로, 그동안 비공식 급식이 이어져 주변 청결 문제나 분쟁이 잦았던 지역들이 우선 반영됐다.

운영 방식은 기존의 임시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인 모델로 재정비된다. 사료와 물 공급, 주변 정리, 위생 점검을 맡을 관리자를 지정해 책임 있는 운영이 이뤄지며, 지역 자원봉사자들과 행정이 함께 감시하고 돕는 방식으로 관리의 균질성을 확보한다.

동구는 급식소 운영과 병행해 길고양이 개체 관리 핵심 정책인 중성화(TNR)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급식·중성화·관리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해 갈등을 줄이고, 무분별한 번식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목표다.

박희조 동구청장은 "길고양이 문제는 주민의 생활환경과 직결된 만큼, 체계적 관리와 지역의 참여가 균형을 이루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급식소 확충은 갈등 완화에 기여하는 첫 단계이며,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환경 개선에 행정도 책임 있게 나서겠다"라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