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구, 생활정책 구조 자체를 다시 짜다
초고령사회 대응 건강전략 행정 효율 높이는 디지털 전환 산업·생활 안전망 재구성
대덕구가 건강관리, 행정서비스, 생활안전 전 분야를 하나의 정책축으로 묶어 재정비하면서, 지역 운영 방식 전반을 새로운 프레임으로 전환하고 있다. 여러 정책이 흩어지지 않고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한 점이 주목되는 대목이다.
대전시 대덕구의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은 만성질환 증가와 고령화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대전시 첫 디지털 건강관리 기반이다. AI 기반 장비가 주요 건강지표를 분석해 개별 앱으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동작 인식 기술을 활용한 건강측정실에서는 보행·상체 균형 등 기능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체계는 보건소 기능을 '예방 중심 관리체계'로 전환하고, 지속적 건강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지역 건강데이터 축적 기반을 마련했다.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은 현재 예약이 장기간 마감될 정도로 현장에서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구는 지방세 고지, 체납 안내, 전자문서 수발신 등 다양한 행정 절차를 모바일 기반으로 전환하며, 행정서비스의 구조를 효율화하고 있다. 카카오톡 알림을 통한 지방세 확인·결제는 주민 편의를 높였고, 종이 고지에 투입되던 예산 절감 효과도 컸다.
전자문서 기반 'OK!대덕 앱'은 법적 효력을 지닌 문서를 바로 조회하고 민원까지 신청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절차를 제거했다. 이러한 디지털 행정은 업무 처리 속도를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향후 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설계 가능성까지 넓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구는 산업현장의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하수시설 밀폐공간 작업 시 보디캠과 가스 측정기 착용을 의무화했고, 유해·위험 공정 31개 작업에 대한 절차서를 마련해 실효성을 확보했다. 현업 근로자에 대한 안전 교육도 강화하며 현장 대응 능력을 높였다.
아동보호구역은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 반경 500m까지 확대 지정하고, 모든 구역에 CCTV를 설치해 생활권 전체의 이동 안전성을 높였다.
또 빗물저장 기능을 결합한 자동염수분사시스템을 도입해 겨울철 도로관리뿐 아니라 여름철 살수에도 활용하며 환경적 지속 가능성과 행정 효율을 함께 확보했다.
대덕구의 정책 전환은 AI 기반 건강관리, 모바일 행정, 산업·생활안전 체계를 각각 진행한 것이 아니라, 주민의 일상 전반을 하나의 정책 구조 안에서 연동시켰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책이 개별 성과에 머물지 않고, 지역 운영 모델 전체를 새롭게 짜는 과정으로 확장된 것이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주민의 생명과 편의를 최우선에 두는 정책은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갖춰야 할 기능이며,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