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관광생활인구가 충북의 미래다

2025-11-25     충청일보

충북의 인구 감소와 지역경제 침체는 더 이상 미래의 가능성이 아니라 눈앞의 현실이다. 11개 시·군 중 절반 이상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상황은 심각하다. 정주인구 유입만으로는 경제 활력을 회복하기 어렵다는 점도 이미 지표가 보여준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발표한 ‘관광생활인구’ 분석은 지역경제 방향 전환을 요구하는 중요한 신호다.

보고서가 제시하는 결론은 분명하다. “사람이 머무르고 소비해야 지역이 살아난다.”

방문객 숫자만 늘어서는 지역경제에 실질적 효과가 없다. 지리적 가중 회귀(GWR) 분석에서도 관광객 수나 관광지점 수보다 관광지출액이 지역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충북의 관광정책도 이제 단순 유치에서 벗어나 체류와 소비 중심 전략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별로 관광요인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제천·단양·충주 등은 소비 유도가 더 효과적이었고, 보은·옥천·영동 등은 숙박 기반 확충이 경제 파급력을 높였다. 모든 시·군에 같은 체류형 모델을 적용하는 방식은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통계가 증명한 셈이다.

한국은행은 시·군 유형별로 구체적 처방도 제시했다. 청주는 미식·문화·MICE를 중심으로 한 도심형 생활관광을 강화하고, 충주·제천은 웰니스·치유 기반 장기 체류형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진천·증평은 교육·문화 중심의 체류 모델이 적합하며, 괴산·보은·옥천·영동은 공공이 기초 인프라를 조성하고 민간이 확장하는 단계형 체류전환이 필요하다. 음성과 단양은 브랜드 재정비와 콘텐츠 다각화를 통해 체류형 소비를 키워야 한다.

결국 충북이 선택해야 할 방향은 하나다. 관광을 단순한 여가 산업이 아닌 ‘생활인구 확대 전략’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지역을 지탱하는 인구는 ‘사는 사람’만이 아니다. 자주 찾고, 머물고, 소비하는 사람 역시 지역경제의 중요한 구성원이다. 생활인구 확충은 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한계를 장기적으로 극복할 전략적 해법이다.

충북도와 11개 시·군은 이번 분석을 기반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우선순위를 세우고 정책을 정교하게 조정해야 한다. 관광은 더는 주변 산업이 아니다. 생활인구 확대는 충북 경제의 체질을 바꿀 핵심 전략이며, 이를 실천할 때 충북 관광은 숫자 중심 홍보를 넘어 실질적 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지금 충북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은 방문객이 아니라 더 오래, 더 많이 소비하는 사람이다. 이것이 충북 경제를 살릴 가장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