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일주일' 朴 어떻게 나올까
언론 질의응답·박영수 특검 등
이번 주 대비책 마련 고심
[서울=충청일보 이득수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비선 실세 국정 농단 사건과 관련해 3차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자진사퇴를 약속했으나 시민들은 이를 '시간 끌기', '정치적 꼼수'로 일축하고 지난 3일 전국에서 232만명이 참가한 촛불시위로 청와대를 압박했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역대 최저기록을 갱신하며 4%로 추락한 가운데 '즉각 퇴진' 압박에 직면한 청와대가 이번 주 운명의 한 주를 맞아 어떤 자구책을 내놓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토요일 촛불시위를 관저에서 TV를 통해 지켜보고 아울러 참모들과 정국 수습 방안을 논의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고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도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청와대의 최대 고민은 오는 9일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 3당이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표결에 부치는 데 대한 마땅한 대응책이 궁색하다는 것이다.
3차 대국민 담화에서 대통령 임기 단축에 대한 시기와 절차를 국회에서 결정해주면 따르겠다고 한 발언이 퇴진을 미루기 위한 정치적 꼼수라는 비판을 받고 있어 야당은 물론 여당 내 비박계도 표결 참여 쪽으로 모여드는 형국이다.
사퇴 의사 발표 효과가 소진돼 탄핵 표결이 진행될 경우 또 다른 대국민 담화를 내놓아야 할 상황이다.
당시 박 대통령은 기자들의 질문 공세를 받고 "가까운 시일 내에 여러가지 경위를 소상히 말씀 드리겠다"면서 "질문하고 싶은 것도 그 때 하시면 좋겠다"고 넘긴 바 있는데 이 부분도 언론과의 약속이므로 이행해야 할 숙제의 하나다.
박 대통령이 국정 농단 사건과 관련, 언론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해명하는 기회를 갖는다면 탄핵소추 표결을 앞둔 이번 주가 적기로 보인다.
예상 질문을 상정하고 정교한 답변을 마련해야 하는 일도 청와대 참모들과 함께 이번 주에 마무리해야 한다.
새누리당이 의원총회를 통해 박 대통령에게 '4월 퇴진, 6월 총선'을 의결한 것도 이번 주에 답을 내놓아야 할 처지로 몰렸다. 이에 대해 어떤 답변을 내놓을지 고심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또 '비선 실세 국정 농단' 의혹을 파헤칠 박영수 특검이 내주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하는데 특히 공언한 세월호 7시간, 청와대 관내에서의 시술, 향정신성 의약품 반입, 제3자 뇌물수수 혐의 수사에 대해 대비책도 마련해야 할 형편이다.
이처럼이 3중 4중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박 대통령이 과연 이번 주를 무사히 넘길 수 있을지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