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이, 표고, 송이, 싸리버섯 등 가을의 입맛을 돋우는 버섯의 계절이다.촉촉이 젖은 서늘한 날씨는 버섯이 성장하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여 주고 있다. 그러나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독버섯을 섭취하여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온다.산림청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버섯은 약 1,600가지의 버섯이 있으며 이 가운데 70%는 식용할 수 없는 버섯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버섯이 식용을 할 수 없는 버섯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문가가 아니면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분하는 일은 쉽지 않다. 대개 독버섯은 색깔이 화려하고 원색이 강하며 띠와 같은 무늬가 없고 독성분이 있기에 벌레나 곤충 같은 것이 먹지 않아 손상이 없으며, 세로로 잘 찢어지고 유액이 흘러나온다고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버섯 전문가도 독버섯인지 식용인지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얼마 전 독버섯이 함유된 버섯을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었고, 버섯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상인들이 판매하는 것이라 안심하고 구매하여 섭취한 사람들이 버섯의 독으로부터 피해를 당하는 사례가 보도 되었다. 그만큼 버섯의 독은 눈에 보이지 않고 목숨을 앗아갈 만큼 치명적이다.독버섯은 원색적으로 화려하고, 벌레나 곤충의 피해가 없고, 은 성분을 검게 변화하게 하고, 버섯의 대공이 세로로 찢어지고, 소금물에 절이면 독이 없어진다는 것도 일부분에 있어서는 잘못된 판단이다.

독버섯의 증상은 섭취하면 속이 불편하고, 구역질이 나고, 구토, 설사,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독버섯에 대한 응급처지의 방법은 먹은 버섯을 소금물 등 음식물을 토해 낼 수 있는 물질을 투여하여 최소한으로 버섯 독의 흐름을 방제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요하게 해야 할 것은 버섯은 종류에 따라 독소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다르므로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일반상식이나 개인적인 생각에 의한 치료방법은 인명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일반 상식적으로 행해지는 민간요법시행은 전문가에 의한 응급조치 후 의사의 처방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고려해야 할 또 하나는 독버섯은 섭취한 후 대개 30분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나타나지만, 섭취 후 10시간 정도 지난 후 증상이 나타나는 종류가 있으므로 독버섯에 의한 증상인지를 판단하지 못하고 배탈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독성분 함유여부가 확인되지 아니한 버섯의 종류는 안전차원에서 섭취하지 아니한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 동중영 경호원 총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