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교원, 교육청 이전·설립에 전·출입 고민

[충청일보]세종시 출범과 함께 오는 2012년 4월 실시될 것으로 보이는 세종시교육감 선거를 두고 교육계가 술렁이고 있다.

이는 특별자치시 성격으로 출범하는 세종시에 교육청이 설립과 동시에 교육감 선거와 교직원 이동이 불가피하게 된 까닭이다.

이에 따라 충남교육계는 물론 대전과 충북지역 교직원들까지 특정 인사 출마 준비 소문과 자신의 거취를 놓고 계산법에 분주한 모습이다.

2012년 7월1일 출범하는 세종특별자치시의 교육감 선거가 예정대로 진행될 경우 지난 선거에서 낙선한 대전·충남지역 교육계 인사는 물론, 일부에서는 대학교수 등 특정 인물의 출마설까지 입소문을 타고 있다. 특히 대전과 충남·북을 오가며 전·출입을 희망하던 교원들 사이에서는 "주민등록을 옮겨 놓으면 가산점이 주어질 것"이라는 소문과 "신규발령 보다는 경력 교원 수요가 많아 전입 인원이 많아질 것"이라는 소문이 공공연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이유는 세종시의 관할 구역이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 의당면, 반포면, 장기면과 충북 청원군 부용면이 포함된데다 대전과 청주권역에서 접근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충남교육청이 2012년 말 내포시로 이전함에 따라 대전지역에 연고를 둔 교육공무원들이 내포시와 세종시를 놓고 벌써부터 고민에 빠진 것도 공공연한 사실이다.

실제 교원 인사의 경우, 대전에서 충북 전출을 희망한 인원이 현재까지는 전무한데다 충북과 충남지역에서 대전지역으로의 전출 희망자가 많아 세종시는 자연스럽게 주관심 대상으로 떠올랐다. 이래저래 한차례 치러야 할 세종특별자치시 단체장과 교육감 선거가 교직원은 물론, 충청권 교육계까지 각별한 주목을 끌고 있다.

/대전=장중식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