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 ·한국경비협회 부회장

과거에는 남성보다는 여성의 신체를 촬영하는 것은 불법이든 합법이든 돈벌이가 되는 것은 사실이었다. 벗은 모습을 더욱 더 선명하게 촬영하기 좋은 시스템을 준비하였다. 지금은 신체를 촬영하는 것은 일반화 되어 그다지 큰 반응이 없다. 그러나 개인의 특성을 촬영한 영상물에는 관심이 많다. 화장실에서 일을 보는 모습을 촬영한다. 목욕탕에서 행동하는 모습을 촬영한다. 이러한 곳에서 촬영된 유명한 정치인, 경제인, 연예인 등의 영상물은 더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나 문제는 요즘 들어서는 유명인은 물론 유아 어린이 학생 회사원 어르신 등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개인의 특성을 둔 영상물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청소년기의 여학생들의 화장실 사생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몰래 촬영하는 범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졸업생이 초등학교 화장실에 여교사의 신체를 촬영하기 위해 몰래카메라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교사가 여고생 화장실에 몰래카메라를 설치하여 여고생의 신체를 촬영하기도 하였다. 학교의 화장실을 몰래 촬영하다가 적발되는 건이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발생하고 있다.

국가에서도 전국 초·중·고교 내 불법 촬영몰래카메라 설치여부를 전수 조사하였다. 화장실 몰래카메라는 학교 뿐 만아니라 자치단체에서도 다중이 이용하는 화장실 칸마다 몰래카메라 방지 막을 설치하는 등 몰래카메라와 한바탕 전쟁을 선포할 정도로 심각하다. 이처럼 국가도 학생들의 화장실 사생활보호에 대한 의지도 대단하다.

그러나 화장실에 대하여 몰래카메라를 찾기란 전문가가 아니면 찾기 힘든 일이다. 촬영방법도 다양하다. 휴대폰으로 촬영하기도 하고, 등에 설치하는 등 전문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는 몰래카메라를 탐지하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촬영하기도 한다. 기기가 다양화 되고 첨단화되어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몰래카메라를 작동할 수 있다. 초소형화 카메라와 화질 등 기술이 발달하면서 모자, 안경, 시계, 반지, 볼펜 등 다양한 생활용품으로 변형되어 제작된다. 때문에 전문가도 대충보아서는 카메라인지를 구분하기 어렵다.

또 카메라의 전원이 꺼진 것처럼 보이게 하면서 촬영하는 장비도 등장했다. 그야말로 최첨단장비로 촬영을 한다. 그럼에도 광역시도 교육청에서는 그 심각성을 모르고 예산을 핑계로 일반적인 흉내만 내는 비전문가에 의한 탐색을 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입찰공고를 보면 전문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인건비와 장비를 전혀 모르고 입찰을 설계하여 공고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전문자격이 없는 어르신들이 제대로 탐지가 되지 않는 저가의 장비를 가지고 구렁이 담 넘어가듯 어르신 탐지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내 소중한 아들딸을 누군가가 몰래 촬영한다면 소름이 끼칠 것이다. 몰래카메라의 피해자는 심한 정신적 피해에 시달린다. 누구나 자신의 얼굴 등 신체부위를 동의 없이 촬영 당하지 않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특히 학교에서는 몰래카메라 설치가 예상되는 화장실 목욕탕 탈의실 등 공공장소에 주기적으로 몰래카메라 탐지를 실시하거나 몰래카메라가 작동하게 되면 경고음을 알려 예방할 수 있는 상시 탐지시스템 설치도 필요하다.

몰래카메라탐지에 있어서 무엇 보다고 중요한 것은 몰래카메라에 대한 탐지를 의뢰할 경우 한국도청탐지업협회와 같은 전문적인 기관에 의뢰하여 기술자문을 받아 본 후 적정한 방법을 찾아 계약하여 전문가에 의한 탐지가 이루어져 몰래카메라에 대한 피해를 줄여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