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형 순환구조로 지역소멸 방지와 '자립형 균형발전' 모델 제시
이순열 세종시의회 의장이 12월 18일 '세종시립대 설립 추진'을 공개 제안했다.
이는 세종지역 고등학생이 관내 대학을 졸업하고 지역 기업과 공공기관에 취업하는 '자립형 균형발전' 모델을 통해 인구 유지는 물론 유출을 방지해 지방소멸을 막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의장은 앞서 11월 24일 충남도립대(청양군 소재)를 방문, 졸업생 취업 현황과 공무원사관학교 수준의 교육 및 교과 외 프로그램 운영, 자격증 취득 지원 등 학사 운영 전반을 점검했다.
이 의장은 "세종에 3개의 대학이 있고, 2024년 공동캠퍼스도 순차 개학할 예정이지만 정작 지역을 대표하고 추세에 맞는 인재 육성과 지자체의 철학을 투영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행정수도에 걸맞은 인재 육성과 지역 특화 학과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공동캠퍼스의 잠재적 문제인 교양과목 이수 문제와 더불어 융복합이 가능한 교육환경을 시립대가 지원하는 형태라면 설립 타당성은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국 최초로 대학 무상교육을 충남도립대가 시작했고, 한해 160억을 투자해 가성비 좋은 성공모델이라 생각한다"며 "인구 80만을 목표로 하는 세종시도 2028년 이후 고3 졸업생이 매년 5000명씩 배출되기에 시립대 설치 고민을 시작하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최성열기자
최성열 기자
csr48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