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한국경비협회 중앙회장
남의 물건을 몰래 훔치고 속여서 빼앗아 간다. 편취(騙取)는 남을 속여 재물이나 이익 따위를 빼앗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보이스피싱을 들 수 있다. 또한 절취는 남의 물건을 몰래 훔쳐 갖는 등의 흔히 절도를 말한다. 요즘은 절도 범죄 보다 속여서 빼앗아 가는 것이 발달하고 있다.
전화와 문자나 톡으로 안부를 전하는 지금은 신종 보이스피싱에 각별히 주의해야 피해를 당하지 않을 수 있다.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전화번호, 주소, 직업, 자녀의 이동시간, 부모의 일과 모든 일정을 상세히 파악한 후 전화를 한다.
대출금이 잘못 입금되었다면서 다시 입금한다고 하면서 반환요청을 한다. 긴급지원금 상품권이 도착했다는 스마트폰에 문자메시지가 온다. 군 복무하는 아들 또는 손주가 사고를 내어 급히 돈이 필요하다고 전화를 한다. 잘 놀고 있는 자녀나 손주를 납치했다는 전화 등이 고향에 계시는 부모님에게 보이스피싱이 갈 수 있다.
피해자도 다양하다. 군 복무하는 손주가 사고를 쳤는데 없었던 것으로 급하게 처리하려면 합의를 해야 한다며 조부모에게 전화한다. 그렇지 않으면 영창을 간다고 하자 그게 사실인 줄 알고 송금하였다. 또 한 법조인은 자녀가 납치되었다는 전화를 받았다. 바로 자녀의 핸드폰으로 전화를 하였지만 연결이 안 된다는 음성 멘트가 나왔다. 자녀 납치가 사실인 줄 알고 송금하였다. 그러나 자녀는 휴대폰이 방전된 사실을 모르고 친구 집에 있었다.
모두 손주 자녀 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사기 수법이다. 보이스피싱은 전화 등 통신을 불신하게 만들어 신뢰를 무너뜨린다는 것이다.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유출을 차단해야 한다. 보이스피싱이 의심된다면 일단 전화를 끊고 반드시 확인될 때까지 송금하지 말아야 한다.
로맨스스캠이란 로맨스와 스캠의 합성어다. SNS 등을 통해 접근해 친분을 쌓은 뒤 돈을 뜯어내는 사기 기법으로 ‘로맨스 피싱’이라고도 한다. 남녀 사이에 주로 발생한다. SNS 등을 통해 이성에게 환심을 산 뒤 돈을 가로채는 방법이다. 유명인의 상속인 등으로 신분을 위장해 이성에게 접근한 후, 애정행각을 표현하며 친분을 쌓은 뒤에 거액을 가로채기도 하는 사기 기법이다.
스캠은 사기를 목적으로 발행하면 스캠코인이라고 하며, 판매실적을 부풀리는 브러싱스캠 등 스캠의 수법은 다양하다. 사랑과 신뢰를 가장한 신종범죄에 당하는 피해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로맨스스캠 범죄는 전 세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운영되고 있는 추세로 그 피해가 심각하다.
우리나라도 로맨스스캠의 우려를 지상파에서 정시간 보도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이다. 로맨스스캠 피해자들은 SNS를 통해 만난 상대와 친밀한 사이로 발전하여 ‘아이가 아파 병원에 가야 하는데, 계좌가 해킹당하여 돈을 인출 할 수가 없다. 카드가 정지되었다.’ 등 자연스럽게 마음을 열게 한 다음 돈을 요구하고 송금받고 다 이용하였다면 자연스럽게 연락이 되질 않는다. 심지어 본인이라며 올려둔 사진은 도용된 사진으로, 사진의 주인공도 피해자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들과 SNS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만남도 증가하면서 이런 로맨스스캠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