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한국경비협회 중앙회장

지금은 전국이 축제 등 각종 행사의 계절이다. 이에 더하여 결혼식 등 가족 행사도 가을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축제를 즐기고자 나온 마음이야 모를 리 없지만, 한편으론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으로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할지 모르는 안전 문제가 걱정된다. 직업병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사림이 모이면 언제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존재한다. 군중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면 심각한 대가를 치른다. 우리는 몇 건의 대형 참사에서 경비의 중요성을 가슴 아픈 사고로 경험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혼잡 경비’처럼 전문성을 갖춘 행사관리 인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대부분 제대로 교육받지 않은 채 임시 투입된 비전문가가 행사나 축제에서 인파를 관리한다. 이들은 현장에서 소극적인 몸짓으로 단순한 수신호를 할 뿐이다. 때론 무관심한 표정으로 제자리에 서 있기만 한다. 일본 등 혼잡경비업무를 도입한 국가들은 차이점이 있다. 특히 혼잡지역의 경비업무를 수행하는 경비원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일본 혼잡 경비원은 행사장, 축제 현장에서 마치 여행사 직원처럼 스피커로 크게 소리치거나 팻말을 높이 치켜들어 군중의 흐름을 유도한다. 경광봉과 호루라기 등 소지한 장비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큰일이 일어난 듯 쉼 없이 경고하고 안내한다.

우리도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는 혼잡·교통유도경비업무를 도입하여 2025년 1월 31일부터 시행 예정이다. 혼잡·교통유도경비업무가 시행되면 체계적으로 육성된 민간 경비원이 각종 다중 운집 상황에 투입돼 제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다.

과도한 규제 또한 개선해야 한다. 현행 경비업법은 100명 이상 모이는 국제·문화·예술·체육 행사장 등에 경비원 배치 시 48시간 전까지 관할 경찰관서장에게 배치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경비원은 관할 경찰관서장의 배치 허가를 받은 후에야 현장에 투입된다. 이는 통제 인원 부족에 시달리는 다중 운집 상황의 신속한 대응을 가로막는다.

또한 여러 현장을 이동해야 하는 행사장 투입이나 경호업무의 경우에서 이행하기 몹시 어려운 문제인 범죄경력조회 및 성범죄경력조회를 이중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일원화하거나 규제를 폐지하여야 한다. 차라리 국가가 일일이 관여할 것이 아니라 업체가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허가 단계부터 공제가입 등으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야 한다. 지키지 못하는 제도를 강제하여 영업을 방해하는 것이며, 민간 경비를 후퇴시키는 길이다.

사고는 예방이 최우선이다. 전문가들은 적절한 군중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으면 또 다른 사고를 막을 수 없다고 경고한다. 특히 다중이 운집한 장소에서는 상황에 따라 큰 인명피해로 이어진다. 지금 아무 일 없다고 안전한 사회일까. 사고 예방을 위한 완벽한 대책이 마련돼야 안전한 사회다.

축제와 야외 나들이가 많을 때일수록 안전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 인파가 몰리면 안전사고도 끊이질 않는다. 특히 축제 주관 단체는 프로그램 기획만큼 안전관리도 촘촘히 계획하여야 한다. 축제와 안전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행사는 안전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사고가 발생하면 행사를 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