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한국경비협회 중앙회장

최근 경기도 광명시에서 지하터널이 붕괴하였다. 한 명은 13시간 만에 구조되었고 한 명은 사망하였다. 붕괴 사고는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대표적이다. 당시 두 사고는 설계 오류, 부실 공사, 무리한 증축, 사후관리 부실 등의 문제로 발생하였다. 이를 계기로 건축법과 감리 제도를 정확하게 적용하게 되었다.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는 사회에 ‘안전 불감증’이라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사례였다. 붕괴 사고는 안전의 중요성을 반추하게 만든다.

붕괴 사고는 주로 건설현장, 오래된 건물, 교량, 터널 등 건축구조물이나 지반 등이 무너지는 것이다.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는 하중 계산, 내진 설계 등의 설계부실, 용접부실, 콘크리트 타설 부실 등 불량자재를 사용한 부실시공, 대상 물건의 유지관리 소홀, 지하수나 기타 주변 공사로 인하여 지질이 불안정하여 토질이 약화 되어 지반 침하, 지진 폭우 태풍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붕괴 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하며, 순간의 판단이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신속하고 침착하게 행동해야 한다.

구조물에 붕괴를 직감할 수 있는 건축물에 금이 가거나 흔들리면 개방된 공간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 엘리베이터가 멈추어 갇히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건축물이 붕괴하여 일정한 공간에 고립되었을 경우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인체 에너지 소모를 최대한 줄이고, 휴대전화, 벽 두드리기 등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야 한다. 밀폐된 공간의 경우 산소를 절약하기 위하여 큰소리 지르는 것은 삼가야 한다.

국민의 안전 문화 인식도 중요하다. 그동안 안전은 정부나 공공의 몫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이제는 국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안전 문화’의 정착이 요구된다. 재난 대응 훈련, 안전 교육, 커뮤니티 중심의 위기 대응 체계 등을 통해 국민이 적극적으로 안전에 관여해야 한다. 모든 것을 국가나 지자체가 해줄 수는 없다. 다중을 위한 부분은 공공영역에서 책임지더라도 사적 영역은 각자 운영의 주체가 책임감을 느끼고 관리를 하여야 한다.

건축물은 설계 단계에서 정확한 지질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구조계산 및 내진 설계를 건축 관련 제도에 따라 안전기준을 준수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시공 단계에서도 정해진 표준자재를 사용하여야 하고 표준 시공 절차를 준수하여야 한다. 건설현장에서는 붕괴에 대응하는 안전 교육을 하여야 한다. 관리에 있어서도 노후 건축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안전점검뿐만 아니라 정밀진단을 하여야 하고 위험요소가 발견되었을 때는 보수 등 즉각적으로 조처를 하여야 한다.

또한, 정부의 노력과 개선도 필요하다. 차량이 많이 다니는 지역, 설비가 오래된 장소, 주변에 지하철이 있는 지역, 또는 폭우 등으로 피해가 많은 지역은 붕괴 위험지역으로 보고 특별한 점검과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구조물은 정기적으로 구조 안전성 검사를 받아야 한다. 노후화된 시설물은 보강하거나 철거 후 재건축을 고려해야 하며, 구조 설계 시 하중 계산과 내진 설계를 철저히 하고, 시공 과정에서 불법 변경이나 자재 절감이 없어야 한다. 작업 중에는 안전관리자 배치, 작업자 교육, 안전 장비 착용은 필수이다. 지반 침하, 기둥 균열, 소음ㆍ진동 변화 등 위험 신호를 감지하면 중단하고 점검해야 한다. 건축물 관리에 있어서도 AI 등 효과적인 감지장치를 구축하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