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가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출생아는 12만6천명으로, 전년보다 7.4% 늘어나며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 출생아 수는 1만9953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09명(9.4%) 증가했다. 이는 2021년 6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이자, 증가율로는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 기록이다.
올해 2분기(4~6월) 출생아 수는 6만979명으로 지난해보다 7.3% 늘며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상반기 누적 출생아는 12만6천1명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8천721명 증가했다.
출산 증가세를 주도한 것은 30대였다. 2분기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3034세 여성은 전년보다 2.7명, 3539세는 5.1명 증가했다. 반면 20대 출산율은 소폭 증가에 그쳤고, 24세 이하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혼인 건수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6월 혼인 건수는 1만8천487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9.1% 늘었다. 상반기 전체 혼인 건수는 11만7천873건으로, 2019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았다.
출생아 증가에 힘입어 합계출산율도 오름세다. 6월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06명 높아졌다. 올해 연간 출생아 수는 2년 연속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고령화로 인한 사망자 수 증가로 인구 자연감소는 여전하다. 2분기 사망자는 8만4천565명으로 출생아 수를 크게 웃돌았으며, 그 결과 인구는 2만3천586명 줄었다. 상반기 누적 자연감소 규모는 5만9460명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증가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안심하기에는 이르다고 지적한다. 출생아 수가 늘었다 해도 여전히 월 2만명에 미치지 못해 인구 감소 추세를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통계청 박현정 인구동향과장은 “혼인 증가와 30대 여성 인구 확대, 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이 맞물려 나타난 결과”라면서도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만큼 인구 자연감소를 완화하기 위한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옥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