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에 물가·효도비 부담 겹쳐…예산 절반은 부모님 용돈·선물비
올해 추석 연휴가 예년보다 길어지면서 소비자들의 명절 지출 부담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연휴 일수 때문만이 아니라 물가 상승과 ‘효도 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전국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2025년 추석 지출 계획’ 조사 결과, 1인당 평균 지출 예상 금액은 71만23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추석(5일 연휴 기준) 평균 지출 56만3500원보다 약 14만8800원(26.4%) 증가한 수치다.
연휴가 늘어나면서 총지출 규모는 커졌지만, 일평균 지출액은 오히려 줄어 10만18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는 일평균 11만2700원이었던 점과 비교된다.
응답자의 62.4%는 지난해보다 예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이 중 8.2%는 예산을 두 배 이상 쓸 예정이라고 답했다. 예산 증가 원인으로는 △연휴 기간 증가 △물가 상승 △부모님 용돈과 선물 비용 등 고정 지출 증가가 꼽혔다.
지출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부모님 용돈 및 선물비로 평균 38만6100원, 전체 예산의 54.2%에 달했다. 이어 △차례상 준비비 29만4600원 △친지·조카 용돈 27만400원 △내식 비용 24만7200원이 뒤를 이었다.
‘가장 부담되는 지출 항목’을 묻는 질문에도 ‘부모님 용돈’이 22.1%로 1위를 차지했다.
전통 명절 문화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경제적 부담은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이다. 86%의 응답자가 긴 연휴로 인해 경제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이 중 ‘매우 부담’(16.5%), ‘부담’(34.7%), ‘다소 부담’(34.8%)으로 나타났다.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세대별로는 40대가 71.1%로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반면, 20대는 38.6%로 가장 낮아, 경제활동 주력층의 부담 집중 현상이 뚜렷했다.
올해 추석 연휴 활용 계획으로는 △가족과 집에서 휴식(46.8%)이 가장 많았고 △귀성(36.4%) △국내 여행(23.2%) △해외여행(5.7%) 순이었다. 국내 여행 수요가 해외여행의 4배에 달해, 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선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차례상 문화도 간소화 추세다. 응답자 중 86.4%는 간소화 또는 대체를 고려 중이라고 답했으며, 전통 형식을 고수하겠다는 응답은 13.3%에 불과했다. 간소화 이유로는 △가사 부담 △경제적 부담 △시간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음식 재료 중 가장 부담을 느끼는 품목은 ‘과일’이었고, 축산물과 수산물이 뒤를 이었다. /김재옥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