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적으로 학교를 대상으로 한 테러 협박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다행히 실제 폭발물이 발견된 적은 없지만 협박 자체가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에게 주는 충격은 크다.
허위 신고라 하더라도 가볍게 넘겨선 안 된다. 재발 방지를 위한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
학교 테러 협박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에게 심각한 심리적 부담을 안긴다. 수업은 중단되고 학교는 극심한 혼란에 빠진다. 대피, 수색, 휴업으로 인해 학습권에도 지장을 준다. 더불어 허위 신고로 인한 경찰과 소방력도 낭비도 심각하다.
언제나 장난 전화는 있었지만, 최근 일련의 사례들을 보면 그저 장난으로 치부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인천 서구 대인고등학교는 사흘째 테러 위협이 발생해 임시 휴업에 돌입했다고 한다. 15일 오전 7시43분쯤 119 안전신고센터에는 '서구 대인고등학교에 설치한 폭발물을 터뜨리고 공범 10명과 함께 생존자를 흉기로 살해하겠다'라는 취지의 협박 글이 게시됐다. 학교는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임시 휴업을 결정했고 등교했던 학생들은 서둘러 집으로 돌아가야 했다.
충청지역에서도 테러 협박이 잇따랐다. 최근 충남 아산시 한 고등학교를 폭파하겠다는 협박 신고가 소방당국에 접수돼 학생과 교직원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지난 13일 오전 10시 51분쯤 119 다매체 신고 시스템에 '내가 온양 A고 2학년 교실에 설치한 폭발물을 30분 뒤에 터뜨리겠다'라는 글이 접수됐다. 경찰특공대와 군 폭발물처리반(EOD)이 출동해 1시간 동안 수색했으나 다행히 폭발물이나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학생과 교직원 등 1250여 명을 교문 밖으로 대피하며 혼란은 극에 달했다.
이 같은 행위는 명백한 범죄다. 가벼운 처벌은 오히려 범죄를 반복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관련 법규에 따라 가해자에 대한 엄정한 수사와 강력한 처벌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학교 안전 시스템 강화도 필요하다. 비상 대응 매뉴얼 점검뿐 아니라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안전 교육과 대응 훈련도 정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폭발물, 흉기 난동 등 점점 심각해지는 범죄 유형에 맞춘 실질적인 훈련이 중요하다. 학교 구성원들이 받은 심리적 충격을 완화할 상담도 병행돼야 한다.
학교뿐만이 아니다. 어느 시설에 대한 것이든 테러 협박을 단순 장난이 아니라 국민의 심리적 안정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행위로 인식하고 강력대응, 책임 있는 조치를 해 더는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