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발생하고 있는 한국인 집단 납치, 감금 사건이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구조된 한국인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취업을 하러 갔다가 납치, 감금, 폭행을 당하는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문제는 이들이 보고 간 취업 광고가 정상적이지는 않다는 점이다.
실제 최근 온라인상에 넘쳐나는 구인글들을 살펴보면 '간단한 서류 작업 또는 웹 디자인인데도 급여는 한 달에 1000만원'이라거나 '급하게 서류가 필요해서 그런데 특정일에 특정 비행기 편으로 서류를 가지고 와 주면 40만~50만원의 보수를 주겠다'는 등의 현실성이 없는 광고가 대부분이다.
캄보디아에 먼저 가 있는 '지인'의 권유로 출국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관련 글이 작성되기도 했다. 다행히 해당 작성자는 도박 등의 혐의로 출국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실제 캄보디아로 향하지는 못했다.
일설에는 대부분의 피해자들이 당초 국내에서도 보이스피싱, 불법 사설도박장 운영 등의 일을 하던 인물들로, 실제 선량한 피해자들은 없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이는 캄보디아 한인회 등에서 언론을 통해 인터뷰한 내용으로 실상은 국내 언론에 보도된 것과는 다르게 불법적인 일에 엮이지만 않는다면 일반 관광 등에 있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다.
이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누구든지 알 수 있는 사실은 있다. 어디를 가더라도 '편한데 돈을 많이 주는' 꿈의 직장은 없다는 것이다.
캄보디아보다 경제 규모가 훨씬 거대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어느 국가를 가더라도 해당 조건으로 해당 급여를 지급하는 일자리는 없다.
고임금 노동자의 경우 위험한 업무에 종사하거나, 더러운 곳에서 위험한 일을 해야 한다거나, 기술 등 전문성이 필요하다. 또 회사의 법인도 명확한데다가 누구나 쉽게 해당 회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 고수익 구인 업체의 경우 회사명 자체가 불분명하다. 특정 회사 이름을 언급하더라도 국내에서 제대로 된 회사인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맡아야 하는 업무나 회사 관련 서류에 대한 질문을 한다면 얼버무리거나, 입국 후 설명해 주겠다는 이상한 답변만 돌아온다.
업무를 명확히 알 수 없는 고수익 구인글은 불법적인 일과 연관됐다. 이것만 조심한다 하더라도 해외에서 납치·감금 당하는 사례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국내에서도 수 많은 일자리가 국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노동 강도가 높은 농업 또는 어업의 경우 내국인이 일을 하려 하지 않아 외국인 근로자들을 들여와 써야 하는 지경까지 왔다.
고소득이 아닌 일반 사무직들을 상시 구인하는 중소기업들도 많다.
대가 없는 노동은 없다는 말이 있다. 많은 국민들이 말도 안되는 조건의 글에 속아 해외에서 납치·감금 당하는 피해를 입지 말았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