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최원철 공주시장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현안이다. 그러나 공주시는 이를 불가피한 현실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필자는 인구 문제의 해법을 단순한 전입 인구에만 두지 않았다. 사람이 머물고, 오가고, 관계를 맺으며 지역에 기여하는 '생활인구'야말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지탱하는 힘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이에 공주시는 '신 5도2촌 정책'과 '온누리공주 시민제도'를 적극 추진했다. 신 5도2촌 정책은 주중에는 도시에서 생활하지만 주말과 휴일에는 농촌을 찾아 삶을 나누는 새로운 정주 형태를 제시했으며, 온누리공주 시민제도는 주소 이전이 없어도 공주와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 활동할 수 있도록 문을 넓혔다. 이러한 정책은 행정이 지역의 경계를 넘어 더 많은 사람을 포용하는 적극행정의 상징이자, 지역공동체의 의미를 재정의한 혁신이었다.

그 결과 공주시는 지난해 전국 인구감소지역 가운데 연간 생활인구 779만 명으로 전국 3위, 충남 1위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 발표된 올해 1분기 통계에서도 충남 1위 자리를 지켰다.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가 있다. 이는 공주가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공통으로 겪는 위기를 소극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과감한 행정적 실험과 시민 참여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음을 보여준다. 생활인구 정책은 바로 그 증거였다.

공주는 생활인구 정책을 단순한 인구 대책이 아닌 지역 경제 활성화 전략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주말 농촌체험, 문화예술 축제, 도시민 귀촌·귀농 프로그램 등은 외부 인구 유입과 지역 상권 회복을 동시에 이끌고 있다. 특히, 지역의 생활인구 확대가 숙박·식음료·교통·관광 등 지역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시민과 방문객이 함께 어울리는 교류형 지역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인구 유입을 넘어 지역의 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로 나아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앞으로도 공주시는 생활인구 정책을 더욱 고도화해 일자리·문화·관광·정주 여건을 연계하고,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드는 참여형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다. 지역과 외부를 잇는 다양한 교류 통로를 넓히고, 생활인구를 지역의 자산으로 전환하는 체계적 전략을 마련해 사람이 찾아오고 머물고 싶어지는 도시를 만들겠다.

지방의 미래는 더 이상 소극행정으로 지켜낼 수 없다. 공주시는 생활인구 정책을 통해 적극행정만이 위기를 극복하고, 지방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을 열 수 있음을 전국에 보여주겠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