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혁신행정' 시동
AI 대전환 시대 맞아 미래행정 전략 모색
서울대 장병탁 교수, 혁신 방향 제시
국민이 체감하는 지능형 관세행정 실현
인공지능이 행정의 언어로 자리 잡는 시대, 관세청이 'AI 기반 행정혁신'의 방향타를 잡았다.
관세청은 31일 서울세관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AI 대전환 시대, 관세행정의 미래혁신 방향'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열고, 조직 전반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공감대를 다졌다.
특강은 AI 기술이 행정 전반을 바꾸는 흐름 속에서, 관세청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전환 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였다. 강연은 국내 AI 연구의 권위자인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장병탁 교수가 맡았다. 장 교수는 서울대 AI연구원 초대 원장으로, 국내 인공지능 연구 생태계 조성과 인재 양성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AI는 행정의 효율을 높이는 수준이 아닌, 정책 판단의 속도와 정확성을 혁신하는 '지능형 행정의 엔진'이 될 것"이라며 "관세청은 방대한 통관·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가 경제의 흐름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연에서는 △글로벌 AI 기술 발전 동향 △AI가 주도하는 공공행정 혁신 사례 △관세행정에 접목 가능한 AI 응용모델 등이 다뤄졌다. 'AI 기반 위험분석 통관 시스템'과 '데이터 예측 행정'을 통한 정책 개선 사례가 소개돼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교육에 참여한 직원들은 "AI 기술을 실제 행정에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청사진을 얻었다"며 "관세청의 혁신 행정이 한 단계 도약할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이번 특강은 직원 모두가 AI 행정의 가능성을 직접 체감하고, 미래 혁신의 방향을 함께 그려본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AI를 행정의 중심축으로 삼아, 국민이 신뢰하고 체감할 수 있는 관세행정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관세청은 이번 강연을 계기로 'AI 트랜스포메이션(AX)' 추진 로드맵을 본격화해, 데이터 기반 통관 절차 혁신과 예측 행정 체계 구축 등 디지털 행정 전환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