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철의 100세 대학] 이규철 법학박사·신중년행복디자이너
△ AI 시대의 현실
우리가 직면하는 AI시대는 선명하고, 비즈니스 전쟁의 최전선에서 AI로 인한 변화는 이미 현실화 되고 있다. ① 사내 직원 70~80%가 이미 AI를 일상 업무에 활용, ② 젊은 세대일수록 AI 활용 센스가 뛰어난 경향, ③ AI 활용자와 비활용자 생산성 격차 확대, ④ AI로 창출된 시간을 활용하여 보다 고도의 전문성 획득이다. 만약 자신이 경영자라면, "어떤 업무를 AI로 대체할까?", "자신 일 어느 부분이 AI로 대체 가능한가?"를 생각한다.
△ AI시대에 필요한 인재상
미국 저명한 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 1948년 2월 12일~)은 "AI의 진화는 산업혁명을 훨씬 뛰어넘는 사회 변혁을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한다.
① AI를 능숙하게 다루는 능력이다. 단순히 AI 도구 조작수준뿐만 아니라, AI를 통해 어떻게 업무를 변혁시킬 수 있을지 구상하고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② 창조적 사고다. AI는 기존 데이터에서 패턴 인식이 뛰어나지만, 진정으로 혁신적인 '0에서 1을 만들어내는 발상'은 인간 영역이다. 이것은 단순히 '아이디어 생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 지식을 조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③ 전략적 사고다. 고객과 시장을 깊이 이해하고, AI도 포함한 자원을 최적 배분하는 경영 판단력이다.
④ 인간관계 구축능력이다. AI가 아무리 진화해도 사람 간의 깊은 유대감이나 감정적 교류를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다. 고객과 신뢰 관계 구축, 팀 내 심리적 안전성 확보, 협상력, 리더십 등 '인간밖에 할 수 없는' 영역의 기술 연마가 중요하다.
△ 당장 단련해야 하는 '비즈니스 뇌'
우선 배워야 할 분야는 첫째, 인공지능 리터러시(literacy)다. 단순히 AI 도구를 조작하는 방법을 아는 것뿐만 아니라 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본 원칙 ② 각 AI 툴의 특기, 특기 영역 ③ AI 출력 결과를 평가하고 검증하는 능력 ④ AI와 인간의 협업 모델 설계다.
둘째, 실천 단계로 ① 최소 3종류의 AI 도구를 일상 업무에 포함시킨다. ② 일주일에 한 번은 새로운 AI 활용법을 시도한다. ③ AI와 대화를 기록하여 효과적이었던 프롬프트를 체계화한다.
셋째, 마케팅 사고다. 가치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그 가치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 ① 고객의 잠재 니즈를 발견하는 통찰력, ② 가치 제안(밸류 프로포지션)의 구축 방법, ③ 디지털 마케팅의 기초(SNS, 콘텐츠 마케팅 등), ④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이다. "마케팅이란, 파는 것이 아니라 사고 싶어지는 이유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필립 코틀러 말을 가슴에 새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