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개 산업군 수요 분석, 미래 인재 청사진 제시
3개년 인력 수급 전망·훈련 체계 재정비
산학연 연계해 지역 인재 생태계 업그레이드

▲ 전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1차 정기위원회’가 열린 현장 모습
▲ 전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1차 정기위원회’가 열린 현장 모습

대전의 산업 기반을 떠받칠 인재 전략이 새롭게 조정되고 있다.

7일 대전 롯데시티호텔에서 열린 대전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1차 정기위원회'에서 지역 산업의 실제 수요를 중심으로 한 인력 정책 재편이 본격 논의되며 현장의 관심이 집중됐다.

회의에는 유득원·정태희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지자체, 기업, 교육계, 노동계, 공공기관·경제단체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해 지역 인력 수급 구조를 다각도로 점검했다.

참석자들은 △2025 사무국 운영 실적 △대전 산업·직종별 수급조사 분석 △2026 지역인력양성기본계획 △지역·산업 맞춤형 훈련사업 계획 등을 공유하며 실효성 있는 인재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올해 진행된 '인력·훈련 수급조사'는 대전 52개 산업, 상시근로자 5인 이상 기업 1018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 대전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제1차 정기위원회’ 참석자들이 회의 종료 후 한자리에 모여 의지를 다지고 있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유득원 부시장, 정태희 회장
▲ 대전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제1차 정기위원회’ 참석자들이 회의 종료 후 한자리에 모여 의지를 다지고 있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유득원 부시장, 정태희 회장

대전인자위는 기술·연구직, 생산·기능직, 서비스·교육직, 관리·행정직 등 4개 직군을 중심으로 향후 3년간 인력 수요와 훈련 공급 조정 방안을 세밀하게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2026년 지역 훈련기관의 교육훈련계획 수립에 직접 반영되며, 최종 보고서는 12월 말 발간될 예정이다.

대전인자위는 산업 현장 요구와 지역 인적자원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인적자원개발(HRD) 지원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체계를 확장해 직업훈련과 일자리 사업을 빈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시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대전의 산업정책과 인자위의 인력양성사업을 긴밀히 연결해 도시가 미래 신산업의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대전상공회의소 정태희 회장은 지역의 구조적 위기를 직시하며 "수도권 중심 구조 속에서 지방은 내수 둔화와 인구 감소라는 이중 압박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기술력과 인재 기반을 앞세워 지역소멸 위험을 선제적으로 이겨내야 한다"며 "뿌리산업과 전략산업을 연계해 인력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 인자위가 중심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 고재철 대전지역본부장, 대전세종충남경영자총협회 김남진 부회장, 대전시교육청 김영진 과학직업정보과장, 한국노총 대전지역본부 김용복 의장,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박대희 센터장 등 지역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산업 인재 전략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보탰다. /대전=이한영기쟈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