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철의 100세 대학] 이규철 법학박사∙신중년행복디자이너

△ 돌봄업계 AI 로봇 도입시대

돌봄업계는 지금 전에 없던 변혁의 때를 맞이하고 있다. ① 초고령화 시대의 돌봄 요구 증대 ② 만성적 인재부족 ③ 돌봄 직원들의 신체적·정신적 부담 증가 등의 과제 해결책으로 AI 로봇 도입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돌봄시설에서도 AI 로봇의 활용은 업무 효율화와 돌봄의 질 그 자체를 높이는 중요한 파트너로 진화한다는 점이다. 최신 AI 기술과 돌봄 현장의 요구가 융합되어 지금까지 없었던 혁신적인 솔루션이 차례로 태어나고 있다.

△ 돌봄시설의 AI 로봇 종류와 특징

돌봄시설에서 활용되는 AI 로봇은 그 기능이나 목적에 따라서 다음 3가지로 분류한다. 첫째, 간병지원형이다. 간병지원형 로봇은 간병인 신체적 부담을 줄이고, 간병작업을 지원하는 로봇으로 그 종류와 특징이다. ① 옮김지원로봇이다. 이용자의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등 간병인 허리에 부담이 큰 작업을 지원한다. ② 이동지원로봇이다. 보행이 어려운 이용자의 이동을 지원한다. ③ 배설지원로봇이다. 배설 타이밍을 예측하여 적절한 케어를 촉진한다. ④ 입욕지원로봇이다. 입욕 도우미의 부담 경감이다.

둘째, 보호·센서형이다. 보호·센서형 로봇은 이용자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 하여, 이상을 감지하는 시스템으로 그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침대센서다. 침대 위에서 움직임이나 이상을 감지한다. ② 환경센서다. 실내 온도, 습도, 조명도 등을 감시한다. ③ 바이탈(vital)센서다. 심박, 호흡, 체온 등을 비접촉으로 측정한다. ④ 감시카메라다.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형태로 이용자 상태를 감시한다.

셋째, 커뮤니케이션·테라피형이다. 커뮤니케이션·테라피(therapy)형 로봇은 이용자의 정신적 건강이나 인지 기능 유지·향상을 지원하는 것으로 그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대화로봇이다. 일상회화와 건강 관리를 위한 대화를 실시한다. ② 테라피로봇이다. 동물형 로봇 등을 통한 심리적 케어다. ③ 레크리에이션 로봇이다. 체조 및 노래, 게임 등 제공이다. ④ 치매케어지원 로봇이다. 치매 환자 특성에 맞는 커뮤니케이션이다.

△ AI 로봇의 도입에 따른 장점

첫째, 돌봄 직원의 부담 경감이다. AI 로봇의 도입으로 간병 직원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이 대폭 경감된다.

둘째, 간병의 질 향상이다. 24시간 365일 예의주시, 데이터에 근거한 개별 케어 실현으로 돌봄의 질이 향상된다.

셋째, 인재부족에 대한 대응이다. 심각한 돌봄 인력 부족 가운데 AI 로봇 도입으로 적은 인원으로도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야간의 인원 배치 효율화나 기록업무의 자동화 등으로 인재를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넷째, 데이터로 과학적 돌봄 실현이다. AI 로봇에서 얻은 데이터 분석으로 보다 효과적인 케어 플랜 작성과 시설 운영 개선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이용자의 활동 패턴이나 수면의 질, 바이탈 데이터 등을 지속적 수집·분석으로 개별 상태에 맞는 최적의 케어 제공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