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영 사단법인 경호원 총재

[동중영 사단법인 경호원 총재] 눈이 많이 오는 날에는 운전자들이 주의를 기울이며 운전을 한다. 모든 도로에서든 속도를 낮추고 최대한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마찰을 유지하며 미끄럽지 않게 달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눈이 많이 오지 않는 날임에도 미끄러짐에 의한 운전 사고는 발생한다. 바로 블랙 아이스 현상 때문이다. 블랙 아이스는 겨울철 도로 위에 얼음이 얇게 얼어붙은 현상이다.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갈 경우 한번 녹았던 눈이 다시 얼면서 발생한다. 매연과 먼지가 눈과 함께 엉겨 붙어 검은 색을 띠므로 ‘블랙아이스(Black Ice)’라 부른다. 운전자들의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주의를 덜 기울일 수 있다. 그래서 더 잘 일어난다.
멀리서 보면 일반 도로와 같거나 살짝 젖어 있는 정도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얼어붙은 빙판길이기 때문이다. 겨울철에는 블랙아이스로 인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며 특히 다리나 터널 직후, 커브길 등의 블랙아이스를 주의해야 한다. 그늘진 도로나 터널 등 표면 온도가 낮은 지역에서 블랙아이스가 주로 발생한다. 또한, 밤새 기온이 떨어진 상태에서 새벽에 블랙아이스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눈이 내리는 날과 눈이 내린 후 기온이 심하게 떨어진 날에는 자가용 이용을 자제하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고속도로 이용을 자제하고 국도로 가는 것이 안전하다. 커브길이나 터널, 고가도로, 다리에서는 서행운전을 해야 한다. 눈 피해를 대비해서 체인, 모래주머니, 삽과 같은 비상용 장구를 실어놓고 다니는 것이 좋다.
운전을 하다가 미끄러짐 현상을 느끼고 당황해서 순간적으로 엑셀 브레이크를 밟는 운전자들이 많다. 엑셀 브레이크 사용은 오히려 눈이나, 빙판길 위에서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 간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엑셀 브레이크보다는 엔진 브레이크 사용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 라디오와 TV를 통해 수시로 교통상황 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미끄러짐이 발생할 때 핸들을 조작하여 미끄러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운전자를 기준으로 미끄러질 때 운전자의 엉덩이가 오른쪽으로 쏠린다면 핸들을 오른쪽으로, 왼쪽으로 쏠린다면 핸들을 왼쪽으로 돌리면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갑작스럽게 미끄러짐에 당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기예보를 미리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운전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보행자의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에 차가 완전히 정차했는지 확인 후 건너는 것이 좋고, 미끄러운 도로 위에서는 시선을 뺏길 수 있는 핸드폰을 보지 않는 것이 좋다.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손을 빼고 보온장갑을 착용하고 다니는 것이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어린이와 노약자는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좋다. 집 주변이나 길가에 모래나 염화칼슘을 뿌려서 미끄럼을 예방해야 한다. 도로 이외에도 호수나 바다에 만들어진 얇은 얼음층을 블랙아이스라 부르기도 한다. 바다나 하천에 발생한 블랙아이스 역시 잘 보이지 않아 작은 선박이라면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유람선이나 어양선을 운행하기 전에 기후와 물의 상태를 잘 살펴보아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